산업 산업일반

성재갑 LG석화 회장 일선 은퇴

40년 한우물 '화학산업의 전설' 고문맡아 후진 양성키로


국내 화학업계의 ‘살아 있는 전설’로 불리는 성재갑(67) LG석유화학 회장이 42년간의 기업활동을 마무리하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난다. LG그룹은 20일 전자와 함께 LG의 주력산업인 화학산업을 육성ㆍ발전시켜온 성 회장이 젊고 능력 있는 후배들에게 길을 터주기 위해 경영일선에서 은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성 회장은 앞으로 LG석유화학의 고문을 맡아 후진 양성과 선배 경영자로서 조언에 힘쓸 계획이다. 성 회장은 “대과 없이 기업생활을 마무리하고 아름다운 전통을 남기며 명예롭게 은퇴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라고 소감을 대신했다. 또 후배들에게 “그동안 축적된 기술과 인재ㆍ경영노하우 등을 잘 활용하고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우리 모두가 함께 성장시켜온 화학기업이 앞으로도 계속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변함없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성 회장이 걸어온 길은 한국화학공업 발전사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성 회장은 지난 63년 부산대 화학공학과 졸업과 함께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에 입사한 뒤 78년 ㈜럭키 이사를 거쳐 럭키석유화학 사장, LG화학 대표이사, LGCI 대표이사, LG석유화학 회장 등을 지낸 LG그룹의 대표적 전문경영인. 그는 ‘화학이 강한 나라가 미래의 강국이 될 수 있다’는 신념으로 40년 넘게 오직 한 우물만 파온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산증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80년 미국 암스트롱사에서 바닥재 제조기술을 들여오려다 거절당하자 2년여의 자체개발 끝에 ‘럭스트롱’이라는 제품을 만들어 적자 사업부를 흑자로 탈바꿈시켰고 LG 사람들 사이에서는 지금도 이 얘기가 전설처럼 회자되고 있다. 또 89년 신설된 럭키석유화학(현 LG석유화학) 사장을 맡아 당시 바다와 개펄이었던 지금의 여수 용성단지에 당초 예정기간의 절반인 1년6개월 만에 공장을 완공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LG의 한 관계자는 “성 회장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 경영자였다”며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한일경제협회 부회장 등을 맡아 국가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는 등 재계의 귀감이 돼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