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박찬구 회장 야심작 4년 만에 결실

금호석화 '꿈의 소재' 탄소나노튜브 상업생산 시작<br>연산 50톤규모… 단계적 확대

금호석유화학의 충남 아산 탄소나노튜브 공장 전경

금호석유화학은 충청남도 아산 전자소재공장 내 탄소나노튜브(CNTㆍCarbon Nano Tube) 생산공장을 준공하고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들어간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금호석화가 2009년 탄소나노튜브 사업진출을 선포지 4년 만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동소체의 일종으로 철의 100배에 이르는 인장강도와 구리보다 1,000배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꿈의 소재’로 불린다. 전지와 반도체, 자동차, 항공기, 가전, 생활용품, 바이오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해 차세대 나노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금호석화의 탄소나노튜브 브랜드는 ‘K-나노스(K-NANOS)’다. 회사는 우선 3가지 라인업의 제품을 생산한다. K-나노스는 우수한 전기 전도도와 분산 효과는 물론 고밀도화 기술로 분말 밀도를 높이면서도 분진을 최소화해 환경오염을 줄였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이에 금호석화는 상업생산 이전에 국내 대기업과 K-나노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금호석화는 탄소나노튜브 제품의 판매를 시작으로 정전기방지용 기초원료 소재에서 전자파차폐재, 방열복합재 등 자체 플라스틱 제품과 복합한 응용수지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합성고무 제품과의 융합을 통해 자동차 타이어의 경량화, 내마모성이 획기적으로 개선한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타이어사와 함께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충청남도 아산의 탄소나노튜브 공장은 면적 4만3,860㎡로 연간 생산규모는 50톤이다. 금호석유화학은 탄소나노튜브 시장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300톤까지 생산량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0년 까지 탄소나노튜브 분야에서 매출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은 “탄소나노튜브의 잠재력은 다양한 산업과의 연계에 있다”라며 “합성고무, 합성수지, 전자소재 등 금호석유화학 사업 부문과의 협업은 물론 산업계의 리딩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아이디테크이엑스(IDTechex)는 탄소나노튜브 세계 시장규모가 2020년까지 약 8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