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재정적자, 오바마 취임 후 처음 1조달러 밑돌 듯

미 의회예산국 “2013회계연도 재정적자 6,420억달러 추정”

미국의 올해 재정적자가 세금 인상과 연방정부의 예산 자동 삭감(시퀘스터ㆍsequester)으로 인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처음으로 1조달러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14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서 2013회계연도(2012년10월1일∼2013년9월30일) 연방정부의 재정 적자가 6,420억달러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CBO는 지난 2월 올해 적자 규모가 8,450억달러로 전망한 바 있어, 불과 2개월여 사이에 2,000억달러 이상 전망치가 하향된 것이다.

관련기사



9월 말까지 이같은 전망이 유지된다면 연방 정부의 세수입과 지출 격차가 1조달러 밑으로 떨어지기는 2008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9월 말 끝난 2012회계연도의 경우, 미국의 재정 적자가 1조1,000억달러에 달한 것을 비롯해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취임한 이래 적자 규모는 4년 연속 1조달러를 넘겼다.

미국의 국가재정이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01년이 마지막이다.

CBO는 2014회계연도에는 5,600억달러의 재정적자를 기록해, 올해보다 적자폭이 더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재정 적자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은 올해 초 미국 정치권이 ‘재정 절벽’(fiscal cliff) 협상을 통해 부유층의 세금은 물론 중산층의 소득세까지 실질적으로 인상함으로써 세수입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세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나 증가했다. 또 앞으로 10년간 1조2,000억달러의 예산을 자동으로 깎아야 하는 시퀘스터가 3월 발동돼 연방 정부가 공무원 무급 휴가를 단행하는 등 지출을 대폭 줄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