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런 대통령을 뽑자(사설)

제15대 대통령선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대선은 대통령중심제 국가에서 국가의 최고지도자를 선출한다는 점에서 언제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한층 각별한데가 있다.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국가부도위기 상황속에서 나라의 장래를 담보하고 21세기를 여는 지도자를 선출한다는 점에서 그렇다.이번 대선에는 모두 7명의 후보자가 출마했다. 이 가운데 한나라당 이회창,국민회의 김대중,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등 소위 「빅3」이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선거는 민의의 반영이다. 대선때나 총선때나 후보들이 겸손해지고 각종 공약을 남발하는 것은 바로 민의를 의식하고 무서워한 탓이다. 그런데도 선거만 끝나면 공약은 공약이 되고 겸손은 권위로 변해 국민위에 군림한다. 우리가 늘상 보아온 한국정치의 실상이다. 국민들이 정치에 대한 의식은 높으면서도 수준이 낮은 탓에 생기는 폐해다. 김영삼 대통령의 오만과 독선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나라가 이모양 이꼴이 된 것도 어쩌면 자업자득이다. 「빅3」의 대선공약은 수백가지가 제시됐다. 아쉬운 것은 21세기에 대비한 원대한 포부나 통일정책에 대한 비전이 얼른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 선거막판에 국제통화기금(IMF)체제가 뛰쳐 나왔다곤 하지만 제대로 된 정책대안도 없었다. 그저 현 정권의 실정을 최대한 부각시켜 표심을 자극하는 단견뿐이다. 국가 최고지도자의 덕목은 우선 리더십이다. 멀리 내다보는 혜안이 있어야 한다. 몇년 남지 않은 21세기를 예비하고 예상보다 빨리 다가올지 모를 통일에도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벼랑끝에 처한 국가를 위해 몸을 바치겠다는 자세도 돼 있어야 한다. 현 정권의 최대 취약점은 외교와 경제다. 글로벌시대 국가간에는 오로지 이해관계만이 존재한다. 외교와 경제를 아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그는 또 한국정치의 고질인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화합의 정치를 펴는 아량이 있어야 한다. 결국 선택은 국민의 몫이다. 21세기의 지도자로 이런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