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야당 권한대행 맡은 박영선… 비대위 구성이 첫 시험대

특정계파 위주로 꾸려질 땐 당내 역풍 휘말려 혼란만 커져

친노 등 적절한 거리두기 관건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31일 동반 사퇴하면서 박영선 원내대표가 중심이 된 비상대책위원회가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을 당분간 이끌게 된다. 이에 따라 박 의원의 비대위 체제가 차기 전당대회를 통한 당 대표 선출까지 순항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새정치연합의 당헌·당규에 따르면 "대표의 궐위시 2개월 이내에 전국대의원대회를 소집해 대표를 소집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결국 비대위는 2개월 이내에 전대를 위해 각 지역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대의원대회를 통해 대의원을 선출해야 하는 것이다. 비대위가 당장 2개월 이내에 해야 할 일은 비대위에서 활동할 위원 구성이다. 박영선 대표 권한대행이 8월1일부터 상임고문단과 선수별 의원 미팅을 가진다는 것도 결국은 비대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를 결정하기 위한 의견수렴 과정인 셈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과거 옛 민주당 시절 비대위가 꾸려질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비대위원장이 탕평책을 통해 계파별로 비대위원을 고르게 포진시키는 것이었다"며 "박 권한대행 역시 2개월에 걸친 비대위원장으로서 가장 중요한 시험 무대는 계파별로 비대위원을 어떻게 포진시키느냐로 귀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비대위원장이 지역위원장 선출과 대의원 대회에 참여할 (전국) 대의원 선출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계파 위주로 비대위가 꾸려지게 되면 결국 비대위가 출범과 함께 당내 역풍에 휘말려 당내 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 과정에서 김·안 공동대표와 정치적 대립각을 세워온 친노와 강경파 의원들이 비대위 구성에 참여하면서 자칫 비대위가 친노 및 강경파 의원들의 당권 확보를 위한 거수기 역할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 권한대행으로서는 원내대표로 선출될 당시 친노와 강경파 의원들의 지지를 받았던 만큼 이들과 적절한 거리를 둘 수 있느냐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익명을 요구한 당내 한 중진 의원은 "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하게 되면 친노 강경파 의원들이 전면에 나서고 결국 각 지역위원장과 (전국) 대의원 선출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할 것"이라며 "더욱이 그동안 당내에서 소외된 486의원들도 김·안의 신주류에 맞서기 위해, 당권 도전을 위해 움직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권한대행은 비대위 구성에서부터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대 등을 모두 지휘해야 하지만 원내대표로서 세월호 특별법과 국정조사·국정감사 등도 이끌어야 한다. 당 대표의 동반 사퇴로 인해 혼란에 빠진 당의 시스템을 정비하면서도 원내에서 새누리당과의 협상을 담당해야 하는 만큼 리더십이 중대한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특히 새누리당이 경제활성화를 앞세워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을 위한 주택법 개정안 등 새정치연합이 반대한 법안 통과를 강하게 요구할 경우 여야 간 충돌도 불가피해져 박영성 비대위원장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