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가 품질 경영대회] '품질 제일주의' 기치 경쟁력 기여도 평가

[국가 품질 경영대회] '품질 제일주의' 기치 경쟁력 기여도 평가 국가품질경영대회는 매년 품질경영활동에 앞장서 산업계 품질제일주의 확립에 기여한 공로자와 우수업체를 발굴ㆍ포상함으로써 산업현장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이를 산업경쟁력 제고의 실천수단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제정됐다. 지난 75년 전국품질관리대회로 처음 시작돼 92년부터 전국품질경영대회로 격상됐다가 올해 26회 때부터 국가품질경영대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동안 이대회를 통해 품질경영 우수기업 291개사, 우수 분임조 2,068팀, 유공자 906명, 품질명장 926명이 포상을 받을 바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품질경영상 수상업체를 대상으로 '국가품질상' 포상제도를 제정,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품질관리는 61년 공업표준화법 제정과 73년 공업진흥청 발족에서 시작됐다. 민간이 동참하는 범산업적 실천운동으로 산업체질을 강화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켜 산업의 고도화에 기여해 왔다고 평가되고 있다. 지난 75년 QC(Quality Control) 또는 TQC(Total Quality Control)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후 품질경영이라는 용어의 첫 사용은 87년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9000 규격을 92년 한국산업규격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부터. 과거 품질관리는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제거하기 위한 검사의 의미가 강했다. 그러나 검사란 이미 완성된 부품이나 제품을 확인하는 절차일 뿐 품질의 개선이나 불량제거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에 생산공장에서부터 관리활동을 도입, 추진해야 한다는 예방차원의 인식이 요구됐고 이것은 통계품질관리(SQC)로 발전했다. 80년대 후반 이후 기업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품질보증ㆍ신뢰성ㆍ제조물책임(PL) 등 가격외적인 요소가 경쟁의 새로운 조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객만족이 강조되면서 생산자중심의 활동인 품질관리는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더욱이 국제 수준의 품질보증능력 확보도 시급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제조ㆍ생산뿐만 아니라 설계ㆍ검사ㆍ판매 등 전 부문을 체계적으로 관리, 품질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기업의 사활적인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전사원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품질관리가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 즉 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수문기자 입력시간 2000/11/21 19:07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