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다시 '들썩'

7월말 연체율 상승세로 반전…가계대출 연체율도 증가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다시 상승세로돌아섰다. 은행들은 경기 회복의 지연으로 중소기업들의 경영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에따라 중소기업 연체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지난달말 현재 2.91%로 집계돼 지난 6월말의 2.18%보다 0.73%포인트 올라갔다. 조흥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도 지난 6월말 3.55%에서 지난달말에는 4%대 초반까지 상승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은 지난달말의 중소기업 연체율이 지난 6월말의 3.21%와 1.63%보다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융감독원도 중소기업 연체율에 대한 은행들의 보고가 끝나지 않아 정확한 추세는 알 수 없지만 분기중에는 분기말이나 반기말보다 연체율이 높게 나타난다며 지난달말 은행권의 중소기업 연체율이 전월말보다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은행권 전체 중소기업 연체율은 작년말 2.1%에서 올 1월말 2.8%로 급격히 높아진 뒤 4월말 3.0%에 이어 5월말에 3.2%까지 상승했지만 6월말에 2.3%로 떨어졌다. 은행 관계자는 "6월에 반기 결산을 앞두고 대손상각 등을 통해 연체율을 대폭낮췄지만 인사철인 7월에 채권 회수가 부진해 연체율이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시중 은행 고위 관계자는 "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연체율은 통제 가능한 범위에들어왔지만 중소기업 연체율은 아직도 불안한 상태"라며 "경기 침체로 중소기업 연체율의 전반적인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했다. 은행들은 이에 따라 담보가 있더라도 상환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중소기업에는대출을 해주지 않고 건설, 음식업, 숙박업 등 경기 민감 업종의 대출에 대해서는 영업점이 아닌 본부에서 직접 심사하도록 하는 등 엄격한 대출 관리로 신규 연체 발생을 최대한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중소기업 대출과 함께 가계대출의 연체율도 상승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6월말 1.78%에서 7월말 2.03%로, 조흥은행은 2.34%에서 2.60%(잠정)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각각 올라갔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