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생산성을 향상하지 않고도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할 경우 임금만 10% 이상 인상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LG경제연구원은 11일 `주5일제 생산성 향상으로 대비하라`는 보고서에서 “법정 근로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통상임금을 종전과 똑같이 지불할 경우 시간당 임금이 10% 이상 상승한다”며 “전(全)산업의 경우 주당 실제 근로시간이 지난 2000∼2002년 평균 47.8시간인데 생산성 향상이 이뤄지지 않은 채 주5일제 근무를 도입하면 시간당 임금상승과 잔업수당 확대로 12.2% 정도의 인건비상승 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가 인용한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2002년 취업자 1인당 시간당 부가가치`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 1인의 시간당 부가가치는 39에 불과한 반면 일본은 두 배에 가까운 72로 나타났고 노르웨이(114), 미국(100), 독일(99),핀란드(84) 등 선진국들은 훨씬 높은 상태다.
보고서는 임금상승압력과 생산차질 가능성을 억제하려면 최소한 15% 정도의 추가적인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생산현장에서 숙련 노동자의 동작을 기초로 표준작업시간을 정밀하게 설정하는 등 작업시간을 끊임없이 단축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이 밖에
▲자사와 협력회사의 생산성 동시향상
▲업무의 지식화
▲관료주의적 계층조직을 현장중심의 전투형 조직으로 혁신
▲혁신마인드 제고
▲독창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력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