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식 세계화하려면 그대로의 맛 지켜야

미국 다큐 '김치연대기' 진행자

"한국 음식 맛을 세계에 알리려면 외국인 입맛에 맞추려고 음식 맛을 바꾸지 말고 한국식 그대로 맛볼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PBS방송의 13부작 다큐멘터리 '김치연대기(Kimchi Chronicle·2011)'를 통해 세계인에게 한국의 향토음식과 고유 음식문화를 소개하며 주목을 받은 한국계 혼혈 방송진행자 마르자 봉게리히텐(37·사진)은 한국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더 당당해지고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최근 미국 시카고 전문직 한인들이 중심이 돼 미 주류사회에 한국문화를 뿌리내리기 위한 노력을 쏟고 있는 '세종문화회'의 연례 기금마련 행사 참석 차 시카고를 방문했다.


그는 "북한·싸이·김치가 한국의 전부는 아니다"라며 "삼성·LG로 상징되는 한국의 현재를 있게 한 이면의 저력, 우리 고유의 문화와 깊은 역사를 알리는 노력을 확대해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김치연대기는 지금도 인도 등 9개 나라에서 재방영되고 있고 하와이항공 기내에서도 방송되고 있다"며 "PBS가 방송지역을 계속 확대하는 덕분에 시청자들로부터 꾸준한 반응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과 우리 음식 세계화 전략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치즈 냄새 걱정하는 것 봤나"며 "한국 음식 냄새를 걱정하지 말아야 하며 외국인 입맛에 맞춰 만들고 한국 상품광고에 서양사람이 등장하는 것이 세계화·국제화는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한미군이던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나 3세 때 미국인 가정에 입양된 그는 "김치연대기 촬영은 한국인으로서의 나를 일깨워주고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해준 너무나 소중한 기회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현재에 대한 이야기만 있지 지금을 있게 한 아픈 역사와 우리 자신의 이야기에 대한 정보와 설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드라마 대장금이나 영화 황진이에 등장하는 배우와 소품·배경 등은 세계인들이 충분히 매력을 느낄 만큼 아름답다"며 "그러나 일본의 사무라이나 게이샤에 대한 이야기에 비해 한국 역사는 너무 가려져 있다"고 말했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