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글로벌 진출로 한국영화 제2 도약"

취임 두 달 맞은 김의석 영화진흥委 위원장<br>급성장 中시장 등 진출 우리에 새 기회 줄 것 공동제작·자본투자 등 상호교류 MOU 곧 체결<br>대·중소 영화사 협력 7월 동반성장協 발족<br>표준계약서 작성도 올해 안에 마무리 계획


이번 정부 들어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에 지난 3월 새로 임명된 김의석(54ㆍ사진) 위원장은 어깨가 무겁다. 영진위원장 자리가 현 정부 이후 벌써 세 번째 교체된 덕(?)에 그동안 미뤄둔 영화계의 과제가 산적해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에 앞서 영진위 수장으로 임명됐던 강한섭ㆍ조희문 위원장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불명예스럽게 자리에서 내려왔다. 김 위원장이 취임 소감으로 "임기를 다 채우는 영진위원장이 되겠다"고 말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오는 30일 취임 두 달을 맞는 김 위원장은 최근 영화인들의 고충을 듣고 새로운 전략을 짜는 데 여념이 없다. 바쁜 일정에 쫓기던 김 위원장을 서울 홍릉에 있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만났다. 김 위원장은 인터뷰 내내 해외 진출을 강조했다. 글로벌 진출로 한국 영화계가 '제 2의 도약'을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글로벌 진출을 강조하는 이유는 극장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영화가 내수 시장에서 승부하기에는 이미 한계가 왔다는 판단에서다. 20여 년 동안 내수 시장에서 발전을 이룬 한국 영화계는 그런 차원에서 제2 도약이 필요하고 글로벌 시장을 도약의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는 게 김 위원장의 지론이다. 글로벌 진출의 목표로 삼은 구체적인 시장이 중국이다. 영화계의 신흥국으로 떠오르는 중국은 어느 정도 성장한 위치에 놓인 우리나라와 여러가지 면에서 서로 주고 받을 것이 많은 국가이기 때문이다. 그는 "최근의 중국 영화계는 우리나라의 20년 전과 비슷하다"며 "중국도 최근 극장 수가 급증하고 영화를 볼 수 있는 경제적인 여유를 가진 인구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영화계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단순한 수출이 아니라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중국 영화계는 국가 통제하에 있다 보니 연간 수입 가능한 외화 편수가 30편 이하로 제한돼있고 이 대부분을 할리우드 영화로 충당한다. 따라서 수출보다는 공동제작이나 자본, 인력의 등 다양한 형태의 교류가 필요하다는 게 김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는"중국은 우리의 콘텐츠 제작 노하우나 수준 높은 인재가 필요하고 우리는 그들의 시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과의 교류는 서로 윈-윈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중국과 우리가 협력하면 할리우드 시장까지도 노려볼 만하다고 말한다. 최근 할리우드는 작품에 아시아인을 등장시키고 아시아를 촬영지로 선택하는 등 아시아 시장을 보는 눈이 달라진 것이 사실이다. 한국 영화 시장의 경우 세계 1위의 영화 시장인 할리우드와 신흥 영화국인 중국의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위치를 오히려 잘 활용하면 우리 영화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주장이 허황된 얘기만은 아니다. 중국 진출을 위해 영진위는 조만간 중국과 스태프나 인프라를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양해각서(MOU)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은 내수 시장 극복 방안일 뿐 아니라 한국 영화계의 고질적 문제인 대기업 계열 투자 배급사와 중소 영화사들의 수직 계열화 문제도 해결해 줄 것으로 김 위원장은 기대하고 있다. 국내 영화계에서 대기업 투자 배급사들과 중소 영화 간에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것 역시 내수 시장이 워낙 한정돼 있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분석이다. 따라서 영진위가 메이저 영화사들에게는 글로벌 진출에 힘을 실어주고 중소 영화사들은 국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메이저와 중소 영화사간의 힘의 불균형을 조절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메이저 영화사들은 자신감을 갖고 잘할 수 있는 부분에 역량을 집중해서 굳이 자신들이 안 해도 되는 건 기존 영화인들에게 양보해야 한다"며 "어느 한 쪽의 일방적인 희생이 아니라 '역할 분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역할 분담을 위해 영진위가 할 일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영진위는 오는 7월 '영화계 동반성장협의회'를 발족할 예정이다. 대기업-중소기업간의 상생이라는 화두가 영화계 역시 주요 과제인 것이다. '동반성장협의회'는 메이저 영화사들과 중소 영화사들의 갈등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공동의 목표를 찾아 '선순환 시스템'을 만드는 게 그 목표라고 김 위원장은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CJ나 롯데, 쇼박스 등 영화계 빅3로 꼽히는 3대 메이저 영화사들도 동반성장협의회에 협력하도록 합의했다"고 말했다. 또한 배급사와 극장간의 수익 배분 문제와 제작사와 투자사간의 계약 문제를 담은 '표준계약서'작성도 연내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영화계의 분쟁을 조절하기 위해 영진위에서 준비중인 표준 계약서는 이 같은 부율의 재조정과 스태프들의 복지, 영화 투자사와 제작사간의 투자 계약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김 위원장 취임 이전인 지난 해부터 문화부와 영진위는 '표준계약서'를 준비했지만 각계의 이견이 커 결과물을 내놓지 못했다. 그는 "상영과 투자, 근로 등 세 가지로 구분돼있는 표준계약서를 올해 안에 마무리 할 계획"이라며 "투자사와 제작사간의 공정 계약을 위한 표준 투자 계약서는 공정거래위원회로 넘겨 약관 심사 중이고 논란이 되고 있는 상영관과 배급사간의 상영 표준 계약서는 올해 내에 합의점을 찾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