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의 사이버 테러 대응 문제점을 지적한 정보기술(IT) 보안 전문가가 사이버 보완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에 올랐다. 안보특보로 내정된 임종인(59)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보안 전문가로 그는 청와대와 정부의 사이버 위기대응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해온 인물이다.
업계에서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를 안보특보에 임명한 데는 최근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소니픽처스 해킹 등 국내외적으로 사이버 보안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작용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실제 청와대 조직을 보면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단 1명도 없을 정도로 취약하다. 이런 점에서 임 원장은 사이버 보안 관련 정책 수립과 조율 역할을 총지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한수원 해킹사건 당시 서울경제신문의 청와대 사이버 대응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에서 그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위기상황일수록 컨트롤타워의 전문가가 신속하게 각 부처를 소집하고 대응해야 하는데 청와대에는 사실상 컨트롤타워가 없는 셈"이라며 "사이버 안보 전문 비서관을 따로 마련하든지 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정부 차원의 대책 수립도 예고되고 있다. 그는 지난 한수원 해킹사건 발생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을 최초로 주장한 인물이다.
미래전략수석에 내정된 조신(57)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연구원장도 민·관·학계를 두루 거친 산업융합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전문가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워싱턴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정보통신산업연구실장과 선임연구위원을 거쳐 지난 1999년 SK텔레콤 정책협력실장으로 통신업계에서 근무하다 2013년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차관급인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 정보통신산업 투자관리자를 지내기도 했다.
평소 정보통신을 바탕으로 한 융합 분야를 미래 먹거리로 강조해온 그는 핀테크, 모바일 헬스케어 등 융합 분야에서 적극적인 규제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아울러 이를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촉진을 위한 총책임을 미래창조과학부에 부여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융합산업이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 원장의 이번 청와대 입성은 의미가 깊다는 것이 IT업계의 설명이다. 정부가 융합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규모와 속도 등에서 너무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융합과 관련된 큰 폭의 규제완화, 부처 간 역할조정 등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