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개속 화물연대 파업사태…왜 갈수록 꼬이나

포항을 끝으로 한풀 꺾일 것으로 보였던 화물연대(화물운송 특수고용노동자 연대) 파업전선이 확대되면서 파업이 장기화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파업이 일파만파로 번져나가는 데는 화물연대가 지입트럭 차주 겸 운전사들의 조직이라는 구조적 특성이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화물연대는 민주노총 산하 전국운송하역노조 소속으로 지난해 10월 발족, 전국 10개 단위지부에 모두 2만여명이 가입해 있다. 그러나 대한통운 등 대형 운송업체들과 위수탁계약을 맺고 영업하는 개인 사업자들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노동관계법상 노조로 인정받지 못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한다. 조합원들은 파업투쟁에서는 동지관계이지만 운송시장에서는 경쟁관계에 있다. 따라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민노총 하역노조가 강력한 지휘통제력을 행사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조합원들은 포항ㆍ부산ㆍ경인 등 지역단위로 영업하는데 지역마다 화물주-운송회사-화물연대간 관계가 달라 전국적 통합협상도 힘든 실정이다. 포항과 경인 지역은 포스코ㆍ삼성전자 같은 대형 화물주 업체가 있기 때문에 화물연대의 투쟁타깃이 선명하게 노출돼 있어 화주업체를 압박하는 형태로 화물연대의 파업이 전개됐다. 반면 부산의 경우 화물연대의 투쟁상대가 뚜렷하지 않아 컨테이너부두 봉쇄를 통해 정부 압박이라는 파업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대형 운송업체 등에 일방적으로 불평등하게 당해왔다고 주장하는 화물연대가 최근 `포항 철강운송 파업투쟁 승리`에 고무돼 운송료율 인상이란 1차 목표에서 노조원 자격인정, 경유값 인하 등 정책적인 2차 목표로 수위를 높여감에 따라 문제해결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