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출범 하루 앞둔 유전특검 수사 대상과 전망

김세호씨 정ㆍ관계 고위층 챙기기도 조사할듯

18일 수사에 공식 착수하는 유전개발 의혹사건 특검팀의 핵심 수사대상은 철도공사가 유전인수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정치권과 청와대, 정부 부처 등의 외압이 작용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청와대 실무자 및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의 사업 개입흔적이 특검 수사의 발판이 될 수도 있으나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허문석씨 등의 신병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이미 `저인망식'으로 진행된 검찰 수사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수사대상 = 검찰은 철도공사가 노무현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일정에 맞춰권한 밖의 사업인 러시아 유전인수를 졸속으로 추진하다 620만 달러의 계약금을 떼였다는 점을 밝혀내고 김세호 건교부 차관 등을 배임혐의로 구속기소했다. 하지만 이 의원이 유전사업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접촉한 정황만 파악한 채 사업추진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했는지와 청와대에서 유전사업을 사전 기획 내지 지시했는지 등은 규명하지 못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 의원은 지난해 8∼9월 정책자료집 발간차 허씨와 유전사업에대해 대화한 바 있고 같은 해 10월 전대월씨에게 사업 상황을 물어보는가 하면 다음달 왕영용 전 철도공사 본부장과 자금조달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더구나 최근 유전의혹 사건 공판에서 왕 전 본부장이 "김 전 차관이 유전사업에이 의원이 개입했다고 말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진술, 의혹을 증폭시켰다. 또한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실 김경식 행정관이 작년 8월 왕 전 본부장으로부터대통령 방러시 유전인수 조인식도 거행될 것이라는 보고를 받았고 다음달 직접 철도공사를 찾아간 정황도 포착됐다. 따라서 특검은 국민적 의혹으로 남아 있는 이 부분을 명확하게 가리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의원이 철도공사 관계자들의 배임행위 `공범'으로 볼 증거가 있는지를 찾는한편 김 행정관의 `윗선'에서도 유전사업을 알고 있었는지 등을 밝혀내는 데 주력한다는 것. 이밖에 작년 9월 유전사업 현황을 보고받은 산자부측이나 다음달 철도공사측으로부터 대출지원 요청을 받았다는 재경부측의 사업개입 의혹, 노무현 대통령의 전후원회장 이기명씨의 관련여부 등도 특검팀이 꼼꼼히 따져봐야 할 사안이다. 검찰이 중간수사 결과 발표 후 보강수사를 통해 확인한 김세호씨의 `정ㆍ관계고위층 챙기기'도 유전사업 추진과 연관성이 있다면 특검의 조사 대상이 될 것으로보인다. 김씨는 작년 1∼8월 철도청장에 재직하면서 직원 사기진작용 등으로 책정된 예산 전용 등으로 청와대, 감사원, 국회 등 고위층 인사 수십명에게 인사치레 명목으로 100만원 안팎의 금품을 건넨 혐의가 최근 검찰 조사에서 포착됐다. ▲특검수사 성과낼까 = 검찰은 압수수색 26군데와 364개의 금융계좌 추적, 연인원 326명을 조사하면서 웬만한 의혹들은 모두 털어냈다고 자신하고 있어 특검이 얼마나 성과를 낼지가 주목된다. 하지만 유전사업의 총지휘자로 지목된 김 전 차관 등이 공판에서 관련혐의를 완강히 부인하고 있는데다 진실규명의 열쇠를 쥔 채 해외로 도피한 허문석씨가 귀국할가능성이 거의 전무해 수사 전망은 극히 불투명한 실정이다. 허씨가 특검수사에 협조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검찰의 `저인망 수사'가 훑고 간 자리에서 기존의 관련자 진술을 뒤집을 만한 추가 물증을 확보하는 것또한 쉽지 않아 특검 무용론마저 제기되고 있다. 반면 2002년 이용호 게이트에서 차정일 특검팀이 이수동 전 아태재단 이사와 대통령 처조카 이형택씨를 구속기소하는 등 검찰 수사가 이루지 못한 굵직한 성과를낸 전례에 비춰 뜻밖의 대어를 낚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없지는 않다. (서울=연합뉴스) 안 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