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日시장 진출

이석채(오른쪽) KT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30일 일본 도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작사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제공=KT

일본 기업들이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 KT와 일본 이동통신사 소프트뱅크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사업 협력을 위해 설립하는 합작사를 통해서다. 30일 이석채 KT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일본 도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데이터센터ㆍ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작사 ‘KTSB데이터서비시즈(KTSB Data servicesㆍ가칭)’를 세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오는 9월 설립될 합작사의 지분 51%는 KT가, 49%는 소프트뱅크가 갖게 된다. 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만 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경남 김해 10월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750억원 가량이다. KT 관계자는 “데이터 센터 구축 전까지는 서울 목동의 데이터센터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상 공간에서 업무 소프트웨어 등을 빌려 쓸 수 있게 해 주는 기술로,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 등을 담당하는 ‘설비’라고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직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일일이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중요한 업무용 자료 등도 클라우드 공간에 저장해놓기 때문에 보안도 강화된다. 양사의 합작인 일본 기업들의 전력 사용량 절감 수요를 겨냥한 것이기도 하다. 일본 정부는 오는 7월부터 ‘전력사용 제한령’ 시행을 통해 기업들의 전력 사용량을 15% 감축 할 예정이다. 이밖에 KT와 소프트뱅크는 내년 상반기부터 각종 재해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보호해주는 재해복구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는 지진ㆍ해일 등으로부터 안전한 외국의 데이터센터를 찾고 있는 일본 기업들에게도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현재 일본의 데이터 센터 시장규모는 올해 5,800억엔(7조5,000억원)이며 매년 약 9.7%의 성장이 예상된다. 덕분에 합작사의 목표 시장규모도 2014년 2,450억엔(약3조2,0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KT는 일본시장 진출을 계기로 한국을 글로벌 데이터 센터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의 해외 통신사업자들과도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KT는 유럽 이동통신사들과도 클라우드 사업 협력을 위해 논의 중이다. 이 회장은 “한일 양국의 대표적인 정보기술(IT) 기업이 협력해 지진으로 전력난을 겪고 있는 일본 기업들을 도울 수 있게 됐다”며 “KT로서도 IT가 내수산업이라는 통념을 깨고 해외 진출에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