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감원 국·실장급 쇄신 인사

금융감독원이 국ㆍ실장급에 대해 파격적인 쇄신인사를 단행했다. 국제업무 등 업무연속성을 유지해야 할 최소 인원을 제외한 현직 부서장 55명 중 47명의 자리를 바꿨다. 이번 인사에서는 특히 최근 직원 비리 등으로 논란을 빚은 부서장을 모두 교체해 금감원 체질 개선에 대한 굳은 의지를 드러냈다. 금감원은 28일 검사 및 소비자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업무유착 소지를 근절하기 위해 국ㆍ실장 47명에 대한 전보 및 승진 발령을 내는 등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의 큰 특징은 그동안 은행, 증권(자본시장), 보험, 비은행 등 업권을 구분했던 인사의 벽을 과감하게 깼다는 점이다. 한 권역에서 오래 근무할 경우 업계와의 유착 가능성이 높아지는 점을 감안해 권역별 주무 부서장을 타권역으로 이동 배치한 것이다. 이 같은 인사는 지난 1999년 조직 출범 이후 처음이다. 최근 직원 비리혐의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저축은행, 기업공시담당 부서장을 전원 교체하기도 했다. 이는 조직 분위기를 일신해 새로운 조직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또 정보기술(IT), 국제, 회계, 법률, 금융상품 등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되는 22개 부서장에 전문가를 중용해 전문성을 강화했다. 금감원은 다음주 초 예정인 팀장 이하 인사에서도 이 같은 원칙에 맞춰 파격인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능력이나 성과가 뛰어난 직원의 발탁과 함께 장기근무자의 대폭 교체와 선호ㆍ비선호부서 직원의 재배치 등으로 조직분위기를 대폭 쇄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인사와 함께 금감원은 검사와 서민ㆍ소비자보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먼저 2008년 6월 도입된 본부제 조직을 부원장과 부원장보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로 되돌렸다. 분야별로 10명의 본부장이 각각 소관업무를 담당했던 체제를 3명의 부원장이 총괄해 은행ㆍ중소서민ㆍ시장 등을 각각 담당하고 산하에 각각 3명의 부원장보를 두는 체제로 바꾼 것이다. 또 검사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검사 부문을 감독부문에서 분리하고 외은지점감독실과 저축은행검사2국ㆍ생명보험검사국ㆍ손해보험검사국ㆍ금융투자검사국ㆍ자산운용검사실 등을 신설했다. 검사인력도 기존의 400명에서 501명으로 대폭 확충했다. 서민ㆍ소비자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금융상품 불완전판매 등을 점검하는 금융서비스개선국을 신설했으며 소비자보호인력도 217명에서 238명으로 늘렸다. 최근 불거진 각종 비리혐의 등과 관련해 직무감찰과 증권신고서 심사 부문에 대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감찰2팀과 공시심사개선팀ㆍ특별심사팀 등을 신설하는 등 조직과 인력을 보강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ㆍ실을 45개에서 47개로 개편해 조직 확대를 최소화했다”면서 “후선ㆍ지원부서의 인력을 줄여 검사, 서민ㆍ소비자보호, 새로운 감독수요 부문으로 인력을 최대한 재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