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6월 24일] 석유거래 투명화에 합의한 '제다 회담'

사우디아라비아의 긴급제안으로 석유 소비국과 산유국들이 한자리에 모인 ‘제다 에너지회담’이 이렇다할 성과 없이 막을 내렸다. 유가가 1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라 사실상 3차 오일쇼크에 이르자 미국 등 주요 8개국(G8)과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및 비회원 산유국, 중국 한국 등 주요 원유 수입국 등 30개국 대표가 참석해 유가변동 요인과 가격안정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최근의 국제유가는 실질가격에서 2차 오일쇼크 수준을 넘어선 데다 지속기간도 이미 5년이나 되는 만큼 더 이상 이 상황이 계속된다면 세계 경제성장이 큰 지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 등 주요 수입국들이 증산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며 산유국들을 압박하는 반면 OPEC를 비롯한 산유국들은 도리어 원유시장의 수요공급이 균형상태이므로 소비국의 압력에 굴복해 무조건 산유량을 늘릴 수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햇다. 석유위기의 진단에서조차 좀처럼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한 셈이다. 제다 에너지회담이 전혀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미 달러화의 약세 위험을 피해 원유 선물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는 국제투기자금을 의식, 각국의 오일 선물가격을 좌우하는 인덱스펀드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서로에게 알리는 등 석유거래의 투명성 증진에 노력하자는 공동선언문을 내놓았다. 증산에 대한 시각은 엇갈려도 투명성 확보에는 공동보조를 맞추겠다는 합의인 셈이다. 근본적인 시각이 다른 산유국과 소비국 회동에서 처음부터 큰 성과가 나올 수는 없을 것이다. 유가상승의 요인 등을 따져볼 때 투기자금이 40.3%, 지정학적 리스크가 39.7%라는 조사가 말해주듯 거래의 투명성 증진을 도모하는 것 자체만도 적지않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수급균형과 관련, 아무리 수요증가세의 억제가 중요하더라도 증산이 병행되지 않으면 고유가 행진이 멈추기 어렵다. 제다 에너지회담을 계기로 산유국과 소비국 사이의 이해를 증진하고 보다 실질적인 협력기구가 구성돼 유가안정과 세계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공동노력이 요구된다. 세계경제가 건실하게 성장하는 것이 산유국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