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의혹 해소위해 성과급도 공개할 것"… 수사에 적극대응 의지

■ 이석채 KT 회장 사의<br>검찰은 비자금 조성 혐의까지 압박<br>"남중수 전 사장 전철 밟을 것" 시각도

배임 혐의를 받고 있는 이석채 KT 회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은 검찰 수사에 따른 부담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번 주 수사에 박차를 가하면서 이 회장에 대한 소환 카드를 꺼낼 것으로 전망됐다. 이 회장 측이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열리는 '아프리카혁신정상회의(TAS) 2013'의 중요성을 이유로 일시 출국금지 해제를 요청하는 대신 귀국 후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일 이 회장이 귀국한 만큼 이번 주 중 검찰의 소환 조사는 예견됐던 일이다.


업계에서는 특히 기존 배임혐의에 이어 검찰이 이 회장이 임원 연봉을 돌려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수사 중이라는 사실이 가장 큰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 분석자료와 첩보 등을 근거로 협의 입증에 자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현재 이 회장은 자신의 혐의를 모두 부인하고 결백을 주장하고 있다. 아프리카 방문 중이던 29일(현지시간) 이 회장은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자진사퇴설을 일축하고"지금까지 부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살아남았다"고 강조했다. 검찰 수사에 대한 압박에 이 회장이 자진사퇴로 자신의 결백을 밝히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되는 이유다. 실제로 이 회장은 이날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의혹들이 해소될 수 있다면 나의 연봉도 숨김없이 공개할 것"이라고 적었다. 자신의 결백은 분명하다는 입장을 재차 반복한 것이다.

앞서 검찰은 이 회장에 대한 참여연대의 고발건과 관련해 지난달 22일과 31일 두 차례에 걸쳐 KT 사옥과 이석채 회장과 임직원의 주거지를 압수수색 했다. 참여연대는 지난 2월 KT가 스마트애드몰, OIC랭귀지비주얼, 사이버MBA 사업 등을 무리하게 추진해 수 백억원의 손해를 봤다며 이 회장을 배임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이어 지난달 초에는 전국언론노조와 함께 이 회장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KT 사옥 39곳을 매각하면서 감정가의 75%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만 받아 회사와 투자자에 최대 869억원의 손해를 끼쳤다며 재차 고발장을 냈다. 이 회장은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열린 아프리카혁신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2일 귀국하자마자 다음날 바로 사퇴 의사를 밝혔다. 지난 달 22일 검찰의 압수수색이 시작된지 2주일이 채 안된 시점이다. KT관계자는 "검찰이 참여연대가 고발한 부동산 배임건 외에도 다른 비리 부분까지 수사를 확대하면서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남 전 사장 후임으로 취임해 KT를 유ㆍ무선 계열사를 통합한 KT그룹으로 출범시켰다. 통합 KT 출범 이후 이 회장은 인력구조조정 등 강도 높은 개혁을 추진했으며, 2009년말에는 아이폰을 도입해 스마트폰 혁명을 앞당겼다는 평가도 받았다. 하지만 정치권 유력인사와 측근 위주의 인사가 이어지면서 주변으로부터 낙하산 인사가 KT의 경영혁신을 가로 막고 있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실적도 지난해부터 롱텀에볼루션(LTE) 시장대응이 늦어지면서 고전하고 있다. 이 회장이 2009년 비리의혹으로 물러난 남중수 전 KT 사장의 전철을 밟게 돼 KT는 CEO리스크에서 자유롭지 못한 공기업 아닌 공기업이라는 인상만 더하게 됐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