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생생 재테크] 연금 수령방법

연금개시전 건강검진후 유리한 방법선택을<br>건강 좋다면 평생 지급받는 종신형 바람직

저출산,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후설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적연금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연금보험만한 상품이 없다. 하지만 정작 연금에 들 때는 지급방법을 따져보는 가입자가 거의 없다. 그러나 연금수령방법을 가입자 상황에 맞도록 설계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금의 지급방법에는 평생 동안 연금을 받게 되는 종신형, 정해진 일정기간 동안만 받는 확정형, 연금액의 이자만 수령하고 사망시점에 일정 금액을 유가족에게 지급해주는 상속형이 있다, 사망시점을 어느 정도 예측 할 수 있다면, 즉 현재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면 확정형 연금이 연금수령액이 가장 많기 때문에 유리하다. 하지만 확정형 연금은 확정기간이 끝나면 그 이후부터는 연금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신형은 평생 동안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하게 오래 살 수록 유리하다. 다만 일찍 사망하면 충분한 연금을 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속형 연금은 노후설계와 재산 이전이 결합된 형태다. 이자 부분은 자신이 연금으로 받고 유고시 에는 유가족들에게 일부분을 상속자금으로 물려 줄 수 있다. 따라서 수령하는 연금액은 가장 적다. 연금수령방법은 가입시점에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연금지급 개시 전 보험사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즉 연금개시 전 건강검진을 실시해 건강상태와 가족력을 확인한 후 유리한 방법으로 결정하는 게 유리하다. 당장 얼마를 받느냐보다 최종적으로 수령액의 합이 얼마냐 되느냐를 고려해 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