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3조원대 부실 PF 매입"

캠코서 구조조정기금 투입… 정부, 유동성 지원 추가 대책도 준비

자산관리공사(캠코)가 3조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을 사들인다. 정부는 또 저축은행의 위기가 계속될 것이라고 보고 유동성 지원책 등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5일 저축은행의 부실 PF 매입을 위해 3조원대의 구조조정기금을 이용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 업계의 PF 대출잔액이 11조8,000억원임을 감안하면 PF 대출의 약 25%를 매각하게 되는 셈이다. 부실 PF 대출을 매각하는 저축은행은 60여곳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매각은 사후정산과 유동화 방식으로 이뤄지며 매각대금은 대부분 유가증권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정부는 부실 PF 사업장을 매각하는 저축은행들과는 자구노력 이행안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맺고 이행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부실 PF 채권 매각으로 저축은행들이 한숨을 돌릴 수 있겠지만 건설사 구조조정이 예정돼 있는데다 건설경기도 좀처럼 회복될 기미가 없어 저축은행의 위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물론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부실 PF를 매각하게 되면 연체율을 줄일 수 있어 자산건전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건설사 구조조정 명단이 발표되면 저축은행들은 직간접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저축은행들은 건설사에 직접 대출은 많지 않지만 건설사들로부터 지급보증을 받은 금액은 최소 수조원대라는 게 업계 예상이다. 시공사인 건설사들이 대출이자 등을 대납해주는 사례가 많아 건설사들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면 이자를 못 받고 자금도 묶일 가능성이 높아서다. 또 PF 매각시 약정금액과 자산관리공사가 시장에 사업장을 매각했을 때 차이가 나는 금액을 나중에 정산하는 사후정산 방식이 대부분일 것으로 예상돼 '시간벌기용'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 정상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추가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당국의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번 매각으로 저축은행의 문제가 끝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