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제1위원장은 이날 조선중앙TV,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매체를 통해 중계된 육성 신년사에서 “나라의 분열상태를 종식시키고 통일을 이룩하는 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는 북과 남 사이의 대결상태를 해소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육성 신년사 발표는 김일성 주석 생전 마지막 해인 1994년 이후 19년 만의 일이다.
김 제1위원장은 “북남공동선언을 존중하고 이행하는 것은 북남관계를 진전시키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근본 전제”라며 “나라의 분열을 종식시키고 통일을 이룩하는 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는 북남 사이의 대결상태를 해소하는 것"이라며 "남조선의 반통일 세력은 동족대결정책을 버리고 민족화해와 단합, 통일의 길로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현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악화한 후 이명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대표적인 ‘반통일 세력’으로 거론하며 "영원히 상종하지 않겠다"고 비난해온 것과 비교하면 화해 모드로 한 발짝 다가선 것이다. 이 날 문구 표현은 지난해 신년공동사설과 비교해도 그 차이점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화’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평가되는 김 제1위원장의 이날 대남 메시지는 대선 이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비난을 자제해온 북한의 대남 기조와 맞닿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 분석이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특별한 제의는 없지만 공동선언을 존중하고 이행하고 톤 자체가 강경하지 않은 것으로 봐서 남북관계 복원에 나름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이날 언급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차기 정부 구성을 앞두고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 속에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서 벗어나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을 이행하라고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집권 2년째를 맞이한 김정은 체제의 대남정책은 차기 정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며 당분간 관망하게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런 점에서 차기 정부가 북한의 화해 몸짓에 어떻게 대응하면서 관계복원을 모색하고 또 이를 북한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올해의 남북관계를 좌우하는 가늠자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