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프간 피랍] 탈레반의 '진짜 속내'는…

한국군 철수→ 통화대가 10만불 요구→ 동료 석방→?<br>아프간정부 강경입장 고수하자 보복 살해 추정<br>탈레반 죄수 석방돼도 '몸값' 지불 불가피할듯

[아프간 피랍] 탈레반의 '진짜 속내'는… 한국군 철수→ 통화대가 10만불 요구→ 동료 석방→?아프간정부 강경입장 고수하자 보복 살해 추정탈레반 죄수 석방돼도 '몸값' 지불 불가피할듯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탈레반 무장세력이 한국인 인질 23명을 납치하면서 처음 요구한 것은 한국군의 즉각 철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인질과의 전화통화를 허용하는 대가로 10만달러를 요구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아울러 과거에 납치된 외국인들의 석방 사례를 볼 때 1인당 100만~200만달러씩은 준비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5일 탈레반이 인질 23명 중 남성 1명을 전격 살해한 것은 이들의 목적이 한국군 철수나 금전적인 것 못지않게 아프간 정부에 구속된 동료 수감자들의 석방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탈레반 측 대변인을 자처하는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한국 인질 살해 이유로 "아프간 정부가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았고 동료 죄수들도 풀어주지 않았다"는 점을 내세웠다. 아마디가 이어 26일 오전1시(한국시간 26일 오전5시30분)를 최후 협상 시한으로 제시하며 이때까지 탈레반 수감자 8명을 풀어주지 않을 경우 나머지 인질들도 살해할 것이라고 경고한 것도 탈레반이 수감자 석방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앞서 탈레반은 납치 초기부터도 동료 수감자 석방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음을 곳곳에서 내비쳐왔다. 탈레반은 피랍 사실이 처음 보도된 20일 한국군이 철수하지 않으면 인질을 살해하겠다고 위협했으나 21일 밤이 되자 철군보다는 인질 수와 똑같은 탈레반 죄수 23명의 석방을 우선적인 요구조건으로 내걸었다. 한국 정부는 20일 1차 통첩이 나온 뒤 계획대로 연말까지 철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나서 동의ㆍ다산부대가 의료와 구호지원을 위한 비전투부대로 아프간 재건을 돕는 데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탈레반 대변인격인 아마디도 AFP통신에 "올 연말까지 아프간 주둔 병력을 철수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철군 계획을 환영한다"고 답해 즉각적인 철군이 납치의 주목적이 아니었음을 암시했다. 이와 관련,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가 파악한 탈레반 측 요구사항에 대해 "무장집단이 몇 개의 그룹으로 분산돼 있는 만큼 요구조건이 상당히 유동적이고 통일돼 있지 않다"며 "그들 내부에서도 요구조건이 시시각각 변해왔고 앞으로도 변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며 탈레반 측 요구가 무엇이라고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문제해결에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탈레반의 요구대로 구속자 석방이 이뤄져도 인질들을 위한 별도의 몸값 지급은 불가피한 것으로 관측된다. 비슷한 사례의 경우 외국 정부들은 자국인 석방을 위해 천문학적인 몸값을 지불해왔기 때문이다. 일례로 독일 정부는 지난해 1월 이라크에서 납치된 독일인 기술자 2명을 석방하기 위해 1,000만달러라는 천문학적인 돈을 썼다고 공영 ARD 방송이 보도했다. 지난해 10월 탈레반에 납치된 이탈리아 사진기자 가브리엘레 토르셀로를 석방하기 위해 이탈리아 정부는 200만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영국 일간 더 타임스는 지난해 5월 독일과 프랑스ㆍ이탈리아 정부가 이라크에서 21개월 동안 몸값으로 지불한 돈이 4,500만달러에 달한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이 같은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번 한국인 인질 석방 과정에서도 적지않은 돈이 건네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물론 지금까지 알려진 대로 탈레반이 제시한 인질 석방의 최대 조건은 몸값이 아니라 동료 탈레반 죄수의 석방이기 때문에 실제 건네질 돈의 규모는 다른 사례에서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탈레반은 최근 주요 군자금 조달 경로였던 마약판매에 국제적인 제약이 가해지면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고 국제사회에서 테러단체에 지불되는 몸값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확한 몸값 규모는 사태의 추이를 떠나서 관련 정부가 공개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베일에 쌓일 것으로 보인다. 입력시간 : 2007/07/26 19:0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