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킹만수' 입지 좁아질까

李대통령 인사 질타·타부처 불만도 고조<br>일각선 "姜장관 성토 경기둔화 책임회피용"

사실상의 경제부총리로 ‘킹만수’로 불리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의 입지가 좁아지느냐에 관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장-물가’를 놓고 외견상 이명박 대통령과 불협화음을 내는데다 재정부 인사에 대해 “이러니 모피아”라며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기 때문이다. 또 강 장관이 외교통상부ㆍ통일부 등 비경제부처의 업무보고에도 참석하자 해당 부처에서 “왜 끼어드는지 모르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강 장관은 25일 외부 강연에서 ‘물가보다 성장이 더 중요하다’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이는 “물가안정이 최우선”이라는 이 대통령의 발언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강 장관은 “일부 언론에서 (대통령 발언을) 성장보다 물가를 우선하겠다는 의미라고 보도했는데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당장은 물가안정을 우선하겠지만 올해 6%대 성장률 목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비경제부처 등 정부 내 여러 곳에서 강 장관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외교부의 한 관계자는 “업무보고 때 강 장관의 참석은 부처 독립성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경제 부처에서는 재정부가 수석이겠지만 외교부는 다르다”고 언성을 높였다. 통계청ㆍ조달청ㆍ관세청 등 재정부 외청 차장 인사는 물론 산하기관 인사에서 강 장관의 입김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한 외청 관계자는 “재정부 출신보다는 내부에서 발탁해야 해당 기관의 사기도 올라가는데…”라며 말꼬리를 흐렸다. 하지만 이 같은 불만들이 실세 장관에 대한 견제나 경제둔화에 대한 ‘책임 회피’ 차원이라는 해석도 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원자재ㆍ유가 급등, 미국 경제 침체 등으로 우리 경제의 대외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경제운용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며 “강 장관에 대한 성토는 희생양 찾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강 장관의 솔직한 어법도 일부 불만을 살 만한 요인이 됐을 수 있다”면서도 “누가 재정부 장관 자리에 앉았건 비판과 불만이 쏟아졌을 것”이라고 항변했다. 강 장관을 끌어내릴 게 아니라 경제 사령탑에 힘을 실어줘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