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은행 BIS비율 조작' 단서 포착

검찰, 외환은행 전ㆍ현 임직원 줄소환 방침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는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조작 단서를 포착하고 외환은행 전ㆍ현직 임직원들을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10일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외환은행경영전략부장 출신의 전용준씨가 론스타의 외환은행 대주주 자격 획득에 결정적 도움이 된 팩스 5장과 관련된 일부 진술을 했음을 시사했다. 채 기획관은 전씨가 문제의 팩스를 발송한 것으로 알려진 허모(사망) 외환은행차장에게 BIS비율 조작 책임을 미루느냐는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 책임을 전가하지않고 있다"고 밝혔다. 2003년 8월 당시 외환은행 매각자문을 맡아 12억원의 자문료를 받은 엘리어트홀딩스 박순풍 대표로부터 수억원을 전달받은 혐의로 9일 구속영장이 청구된 전씨는 BIS비율 조작설과 관련해 중대 비밀을 알고 있을 것으로 검찰은 추정하고 있다. 채 기획관은 "전씨는 외환은행 매각 때 실무를 총괄한 상당히 중요한 인물로 당시 상황을 몰랐을 수는 없다. 수사 초기에 전씨의 비리를 적발해 신병을 확보할 수있었던 것은 수사 전체적으로 다행한 일이다"고 말했다. 검찰이 전씨 등을 집중 추궁해 BIS비율이 조작됐다는 사실을 조기에 확인할 경우 최근 속도를 내고 있는 론스타의 외환은행 재매각 추진 일정이 중단될 수도 있을것으로 보여 수사 추이가 주목된다. 외환은행은 론스타에 매각되기 직전인 2003년 7월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연말전망치를 금융감독위원회에 6.16%, 외환은행 이사회에 10.0%로 서로 다르게 보고한 탓에 금융감독위원회와 재정경제부가 외환은행을 부실기관으로 둔갑시켰다는 의혹이 불거졌었다. 검찰은 부실금융기관 판정기준인 BIS비율 8% 이하와 이상으로 각각 다르게 보고된 과정에 인위적인 조작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외환은행 매각 실무팀 관계자들을무더기로 불러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또 외환은행 전ㆍ현직 임직원 등 5명의 출국을 추가로 금지한 데 이어 정ㆍ관계인사들의 출금도 검토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론스타 관련 출금자는 10일 현재까지 약 3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채 기획관은 추가 출금자 5명이 외환은행 헐값 매각과 관련돼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저가매각과 관련한 사람들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전씨와 박씨를 상대로 엘리어트홀딩스가 외환은행 매각자문을 맡게된 경위와 수억원을 차명계좌로 주고 받은 이유 등을 캐고 있다. 박씨는 절세(折稅)를 목적으로 차명계좌를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전씨는금품수수 사실을 시인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채 기획관은 박씨와 전씨가 금품을 주고 받은 것이 범죄 요건에 해당하는지에대해 "증거가 있으니 영장을 청구한 것이다"고 말해 외환은행 매각 당시 자문사 선정과 내부기밀 유출 등과 관련해 뒷거래를 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검찰은 금융브로커 김재록씨를 부실기업 인수 청탁 및 대출알선 등 혐의로10일 기소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