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부처 개편작업에 총리실 입김 세진다

■ 인수위 파견 공무원 53명 확정<br>기획조정분과에 2명이나 보내<br>한은·금감원 한명도 없어 노심초사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같은 정부부처 개편작업에 국무총리실의 입김이 세진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책임총리제 도입을 언급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8일 각 부처에서 파견 받을 공무원 53명을 발표했다. 전문위원(국장급)이 28명, 실무위원(과장급)이 25명이다. 전문위원과 실무위원에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1명씩 포함됐다.

눈에 띄는 것은 새 정부의 밑그림을 그릴 기획조정분과 전문위원에 오균 총리실 기획총괄정책관이 들어가고 규제총괄정책관실에 있는 김용수씨가 실무위원으로 낙점됐다는 점이다. 기획조정은 부처 개편업무는 물론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를 만드는 '힘 있는' 분과다.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 때도 기획조정분과의 부처 이합집산 과정에서 친정을 위해 톡톡히 역할을 해내기도 했다. 특히 총리실은 정무분과에 속하지만 이번에 기획조정분과에 2명을 보내게 되면서 정권 출범 이후에도 총리실이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5년 전 실무위원을 보냈던 금융감독원과 전문위원을 파견했던 한국은행은 이번에 한 사람도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제재권한 회수, 공무원화, 소비자보호원 분리 같은 현안을 앞두고 있는 금감원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4명을 추천해 최소 2명은 인수위에 갈 것으로 예상했던 금융위원회도 정은보 사무처장만 가는 것으로 정리됐다.

이번 인선은 전문성 위주로 각 부처가 추천한 인물이 낙점됐다. 학연이나 인맥을 고려하지 않고 전문성을 갖춘 이들로 뽑았다는 얘기다. 이명박 대통령 때는 공무원이 78명이 파견됐는데 인수위 측에서 다시 추천을 요구한 사례도 많았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