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쿠르드 유전개발 차질 우려

이라크 "한국-쿠르드 자치정부 MOU 승인한 적 없다" 반발<br>한국정부 대책 부심속 "최악상황까진 안갈것"


인수위원회의 최대 자원외교 성과로 꼽힌 이라크 쿠르드 지역의 유전개발 양해각서(MOU)에 이라크 중앙정부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으나 파국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전망이다. 이라크 중앙정부의 아심 지하드 석유부 대변인은 22일 국내 일부 언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 컨소시엄과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 대표단이 최근 체결한 유전개발 관련 MOU를 승인한 적 없다’면서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인터뷰에서 “쿠르드 자치정부와 한국 컨소시엄의 발표는 (보도를 통해)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이에 대해 사전에 통보를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 측이나 쿠르드 자치정부가 이번 MOU 체결 전 이라크 정부에 승인을 문의해온 바도 없다”며 “이라크 정부는 쿠르드 자치정부와 외국 회사가 맺은 어떤 계약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라크 중앙정부가 이번 MOU를 사실상 무효로 규정한 셈이다. 이라크 정부는 그간 바그다드 중앙정부의 승인이나 협의를 거치지 않고 쿠르드 자치정부와 외국 기업이 유전 등 이라크의 에너지개발과 관련해 맺은 계약은 불법이며 효력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강조해왔다. 실제로 이라크 중앙정부는 쿠르드 정부와 SK가 맺은 유전개발에 대해서도 반발, SK로의 원유 수출을 일부 중단하고 있는 상태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라크 정부와 접촉해봐야 알겠지만 여러 정황을 놓고 볼 때 최악의 상황까지는 치닫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또 다른 관계자도 “이라크 중앙정부도 쿠르드 자치정부를 무시할 수만은 없다는 게 쿠르드는 이라크 정치지형이다. 더구나 쿠르드의 총리까지 방한해 맺은 계약을 원천 파기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라크 중앙정부 구성의 3분의2가 쿠르드 출신임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그는 이어 “쿠르드 자치정부와 생산물 분배계약을 체결한 곳이 미국ㆍ영국ㆍ캐나다 등 서방 국가를 중심으로 20곳이 넘는다”면서 “이번 계약을 파기할 경우 다른 계약까지 모두 부정하는 셈이어서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쿠르드 정부 역시 총리까지 방한해 맺은 계약인 만큼 중앙정부를 설득하는 작업을 한국 정부와 함께 병행하지 않겠느냐는 게 그의 분석이다. 석유공사의 한 관계자 역시 “중앙정부와 쿠르드 정부가 어떤 형태의 타협을 하게 될 경우 어느 한 쪽만의 입장을 반영해 타협 내용이 결정되기는 어렵다”라며 “MOU를 기반으로 최종계약을 맺고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삼천리 측도 “메이저 석유회사들도 자치정부와 계약을 맺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앙정부의 의지대로 쿠르드 지역 사업이 중단되기는 어렵다”고 낙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