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소년들 "광고 규제 강화해야"

청소년들은 어린이.청소년 대상 광고의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가 전국 중.고등학생 514명을 대상으로 '광고에 대한 청소년의 의식'을 조사, 23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어린이.청소년 대상 광고에 대한 표현규제 수준을 강화해야한다는 응답이 51.9%로 가장 많았다. 현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33.3%였으며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14.8%에 불과했다. 청소년들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끼치는 광고 유형으로 △허위.과장 광고(30.5%) △선정성 광고(25.3%) △폭력성 광고(25.3%) △비속어.은어.반말 사용 광고(17.5%) 등을 꼽았다. 응답자들은 선정.폭력 광고의 책임이 광고대행사(42.6%), 광고매체(19.8%) 등에있다고 답했으며 52.9%는 선정.폭력 광고 규제 강화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선정.폭력 광고로 청소년의 피해가 큰 업종으로 이들은 △통신사(22.6%) △전기.전자 제품'(16.7%) △의류.섬유(15.4%) 등을 들었다. 허위.과장 광고의 경우 광고주(25.1%), 광고매체(14.6%) 등에 책임이 있으며 허위.과장 광고 규제 강화에 찬성한다는 답변은 51.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들은 △학원(22.0%) △전기.전자제품(21.2%) △통신사(14.4%) 등의 업종에서 허위.과장 광고 피해가 발생한다고 답했다. 과도하게 외국어를 사용하는 광고에 대해서는 39.5%가 '규제를 해야한다'고 답했으며 청소년 중 54.7%는 비속어 및 바르지 못한 어투를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응답했다. 한편 조사대상 가운데 65.2%는 '광고가 제품 구매에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으며43.8%는 광고로 인해 불필요한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로 인한 과소비의 책임은 광고대행사(20.6%)나 광고주(17.5%)보다는소비자 본인(33.3%)에게 있다고 답한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청소년 중 33.1%는 광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34.8%는 학교 수업 시간에광고에 대해 배운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광고 교육 내용으로 응답자들은 △광고를 이해하는 방법(53.5%) △광고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41.2%) △광고를 만드는 방법(4.2%) 등을 꼽았다. 청소년들의 광고 신뢰도는 중간 수준인 5점 만점에 2.91점으로 조사됐으며 매체별로는 TV(3.27점)를 가장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신문(2.82점), 케이블TV(2.75점), 인터넷(2.71점)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