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초우량주 거래비중 세계최저‥외국인 매집 영향

종목별 빈부격차 최상위권…경제 양극화 반영

외국인들이 초우량주들을 집중적으로 매입한 뒤장기 보유하면서 이들 종목의 거래대금 비중이 세계적으로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또 한국경제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면서 한국 증시의 종목간 `빈부격차'가세계적으로 최상위권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세계거래소연맹(WFE)의 최근 발간 자료 `2003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작년도 상장사중 거래대금 상위 5%인 34개 종목들이 전체 거래대금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6%로 전세계 48개 회원거래소중 47위를 차지했다. 이 점유율은 전년의 58.1%에 비해 38.5%포인트가 떨어진 것이다. 거래대금 상위 5%기업들의 거래대금 점유율은 미국의 아멕스시장이 9.6%로 가장낮았고 한국의 증권거래소가 바로 뒤를 이었다. 경쟁국으로는 대만 42.8%, 태국 35.3%, 중국 상해 34.1% 등이었다.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는 41.5%, 나스닥은 74.9%, 일본의 도쿄시장은 63.5%, 영국의 런던시장은 86.3%였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외국인들이 우량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인 뒤 장기 보유하면서 내국인들은 이들 주식을 매입하고 싶어도 살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면서 "내국인들은 불가피하게 저가 우량주를 매매하다 보니 초우량주들의 거래액 비중이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시가총액 상위 5%에 해당되는 기업들의 시가총액 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의 증권거래소 시장이 73.4%로 회원거래소 48개 가운데 8위를 차지했다. 전년인 2002년에는 75.0%로 9위를 차지했었다. 작년에 집중률 1위인 시장은 인도 뭄바이로 시가총액 상위 5%가 전체의 91.6%를차지했으며 이어 영국 런던 82.5%, 홍콩 80.4%, 호주 77.4%, 노르웨이 오슬로 75.2%,스페인 73.9%, 핀란드 헬싱키 73.8% 등의 순이었다.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는 58.6%, 나스닥은 69.1%, 일본의 도쿄시장은 58.2%로한국의 증권거래소시장보다 낮았다. 또 대만 59.8%, 태국 57.4%, 싱가포르 67.9%, 중국 상해 45.6%,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66.4%, 이란의 테헤란 63.6%, 브라질 상파울로 68.1% 등이었다. 집중률이 가장 낮은 시장은 중국의 심천으로 26.0%에 불과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