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도서관, 미래의 富키울 원동력으로

문화올림픽이라고 불리는 제72회 세계도서관정보대회(WLIC)가 지난주 COEX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대회는 세계 150개국 5,000여명이 참가해 유럽이나 미국에서 열릴 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 도서관과 정보 이용에 관한 각국의 지혜와 경험을 공유했다. 행사 주관기관으로 네덜란드에 본부를 둔 세계도서관협회연맹(IFLA)의 관계자들은 이번 서울대회에 대해 “어디 한곳 흠잡을 데 없이 완벽했다”며 지식정보사회로 한걸음 더 다가서고 있는 한국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근사한 행사에도 불구, 한국 도서관의 현주소는 그러나 썩 밝아 보이지만은 않는다. 무엇보다 전국 514개 공공도서관의 자료구입비를 보면 그 현실이 한눈에 들어온다. 신간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예산인 자료구입비는 행정자치부가 지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시키기 위해 분권교부세 명목으로 지난해부터 지자체에 배포해오고 있다. 모든 문화행사 비용이 포함돼 있는 이 분권교부세는 지자체의 재정자립도 등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액수가 적은 강원도의 경우 도서관당 대부분 1,500만원선에 머물고 있으나 서울 지역은 2억원이 넘는 곳도 있어 무려 10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다. 이에 따르면 신간의 평균 가격을 1만원으로 볼 경우 작은 도서관이 1년에 구입할 수 있는 책은 150여권 정도가 전부다. 그것도 다른 문화행사에 우선순위가 밀리지 않고 예정대로 예산이 집행된다는 가정하에서 나오는 계산이다. 2006년 한국 출판연감에 따르면 1년에 발간되는 신간 종수는 4만권이 넘는다. 결국 지방 도서관에서 신간을 찾아보기란 하늘에 별 따기라는 의미다. 공공도서관은 공공교육의 산실이자 지식정보사회를 이끄는 데 필요한 새로운 지식을 유통하는 통로다. 지방과 서울의 교육 환경 양극화 문제가 깊어지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부의 중심축이 미국에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으며, 새로운 부의 혁명을 일으키는 자산을 무한한 정보의 바다에서 유용한 지식을 걸러내는 능력이라고 예언했다. 다가오는 미래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 지방 공공도서관의 내실 강화는 시급한 바닥 다지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