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경제·금융
"국정 안정적 마무리" 참모형 발탁
입력2007.03.09 20:45:06
수정
2007.03.09 20:45:06
■ 盧대통령, 새총리에 한덕수씨 지명<br>호남출신 중용으로 전통적 지지층 복원도 노려<br>靑개헌문제등 전담, 총리실선 경제·민생 주력<br>한미FTA 협상 탄력·부동산 정책 힘 발휘할 듯
![](http://newsimg.sednews.com/2007/03/09/1HQU2SHNQ1_1.jpg) | 한덕수(오른쪽) 국무총리 지명자가 경제부총리를 맡고 있던 지난해 6월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국무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
노무현 대통령은 한덕수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총리로 지명하기에 앞서 최근 후임 인선과 관련, ‘정치형’ ‘코드형’ 인물 대신 ‘실무ㆍ행정형’을 인선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한 총리는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의중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다. 국무조정실장과 경제부총리를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기 때문이다.
한 지명자가 워낙 온유한 이미지를 갖고 있어 “총리로서는 좀 약하지 않느냐”는 평가와 함께 공직사회를 제대로 끌고 갈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오히려 무색무취의 성향이 대선 중립의 시비에서 벗어나 임기 말 남은 민생 과제를 충실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장점으로 발휘될 수 있다는 평가가 작용한 셈이다.
◇‘실세 총리’에서 ‘참모형 총리’로=참여정부의 역대 총리들은 대부분 정치적 성향이 강했다. ‘실세 총리’로 통하는 이해찬 전 총리는 물론 한명숙 전 총리도 당 출신으로서 그에 걸맞은 ‘힘’을 발휘해왔다. 한 지명자는 이와 비교하면 말 그대로 ‘참모형 총리’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도 “임기 말 마지막 총리인 만큼 기획ㆍ정무형 총리보다는 그동안 벌여놓은 정책들을 꼼꼼하게 챙기고 관리하는 사람이 적임”이라며 , 관리형 총리가 이번 인선의 직접적 배경이 되었음을 내비쳤다.
이해찬 전 총리처럼 직선적 스타일을 고집해 정치권과 충돌을 빚을 경우 국회의 초당적 협력을 바탕으로 국정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려는 노 대통령의 임기 말 구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경제 총리’를 내세움으로써 대선 중립 시비에서
자연스럽게 벗어남과 동시에 호남출신인 한 지명자를 통해 전통적 지지층을 복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판단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 총리’ 역할 발휘할까=‘경제관료’ 출신인 한 지명자가 발탁됨으로써 내각은 어느 때보다 경제 부문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헌 등 눈앞의 과제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청와대가 중심을 이루고 총리실은 경제ㆍ민생에 주력할 것이라는 얘기다. 한 지명자는 인선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민생을 안정시키도록 할 것”이라고 말한 뒤 “특히 사회안전망 관련 정책은 국민 여러분이 피부에 느낄 수 있도록 철저하고 집요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혀 경제 총리로서의 역할에 집중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타결이 임박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한 지명자는 “FTA는 우리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할 수 있는 추가 재원을 확보하는 대단히 주요한 정책”이라며 “최대한 노력을 해서 우리 이익을 얻으면서 시간 내 타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부동산정책에서도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지명자는 경제부총리 당시 ‘8ㆍ31 대책’을 주도했던 인물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부동산정책을 집도해왔다. 지금까지는 부동산정책이 권오규 경제부총리 중심으로 진행돼왔지만 한 지명자가 행정부에 복귀함으로써 부동산정책에서 총리실의 입김이 부분적으로 투영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