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누더기 선거구’ 될라

17일께부터 시작될 국회 선거구 획정 작업을 앞두고 벌써부터 선거구 `찢어 붙이기`와 게리맨더링 논란이 커지고 있다.먼저 전남 나주와 고흥은 보성ㆍ화순을 나눠 나주ㆍ화순, 고흥ㆍ보성으로 조정하는 안이 유력하다. 하지만 나주 시의회가 교통 연계성 등을 들어 강하게 반대하고 나선데다, 보성ㆍ화순 현역인 박주선 의원이 옥중에 있는 틈을 타 이뤄지는 것이어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전북 진안ㆍ무주ㆍ장수의 경우 진안과 무주는 완주ㆍ임실에, 장수는 남원ㆍ순창에 나눠 붙이는 게 1안. 하지만 임실을 진안ㆍ무주ㆍ장수에 통합하고, 완주는 전주 덕진과 합쳐 갑ㆍ을로 나누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행정구역 단위를 벗어난 게리맨더링”이란 비판이 일고 있다. 북제주도 제주ㆍ서귀포와 통합해야 하지만 “광역단체에 3개 선거구는 둬야 한다”는 지역여론에 밀려 제주시와 합쳐 갑ㆍ을로 나누는 안이 확실해지고 있다. 각각 4개와 2개가 통폐합 대상인 경북과 경남은 `찢어 붙이기`로 누더기가 될 지경이다. 청송ㆍ영양ㆍ영덕, 울진ㆍ봉화, 군위ㆍ의성을 각각 군위ㆍ의성ㆍ청송, 영양ㆍ영덕ㆍ울진ㆍ봉화로 조정하자는 안과 군위를 영천에 붙이고 의성ㆍ청송ㆍ영덕, 영양ㆍ울진ㆍ봉화로 하자는 안이 맞서 있다. 의령ㆍ함안, 산청ㆍ합천도 의령ㆍ함안ㆍ합천, 거창ㆍ함양ㆍ산청으로 나누는 게 원칙이지만 지역구 감소를 막기 위해 주변 창녕을 끌어들여 산청ㆍ합천ㆍ의령, 함안ㆍ창녕으로 조정하자는 목소리도 크다. 충남 부여와 예산은 당진ㆍ예산, 부여ㆍ서천으로 조정하는 안과 홍성ㆍ예산, 부여ㆍ청양으로 나누는 안이 맞서 있고 강원 영월ㆍ평창과 태백ㆍ정선은 홍천ㆍ횡성ㆍ평창, 영월ㆍ태백ㆍ정선으로 조정하는 안이 유력하다. <배성규기자 vega@hk.co.kr>

관련기사



배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