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 교육부총리에 거는 기대

참여정부 첫 교육부총리에 윤덕홍 대구대 총장이 낙점 됐다. 노무현 대통령이 여러 가지 인선원칙을 세우고 고심 끝에 찾은 인물이어서인지 국민들이 거는 기대도 남다르다. 노 대통령은 지난 달 27일 조각 내용을 발표하며 교육부총리 인선기준으로 ▲개혁성 ▲공동체 의식과 연대의식 ▲경영마인드 ▲여러 교육 주체가 대체로 호감을 가진 사람 등 네 가지를 제시했다. 그러나 인선난이 계속되면서 “이들 원칙 자체가 너무 이상적이었다”는 비판도 제기됐었다. 또 이를 묵묵히 지켜보고 있어야만 했던 행정기관의 실무자들과 교사들, 학부모와 학생들의 마음은 혼란스럽기만 했다. 특히 그 동안 교육부총리감으로 거론되던 인물들이 시민 단체들의 반발로 잇따라 낙마하는 상황에서 누가 교육부를 맡게 되든 큰 부담을 안게 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교육부총리 임명이 교육계는 물론 교육 관련 시민단체와 교원단체 간의 갈등을 넘어 진보ㆍ보수 간 힘겨루기 양상으로까지 번졌기 때문이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부총리 인선이 외풍에 시달려 늦어졌는데 그런 과정을 거쳐 부총리가 된 사람이 취임 후 외풍을 이겨내면서 올바른 정책을 만들고 수행해 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걱정을 나타냈다. 앞으로 윤덕홍 신임 교육부총리의 양 어깨에 교육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맡겨졌다. 우선 학교의 교장단과 전교조로 양분돼 있는 교육계를 통합해야 하고 사교육비 문제를 비롯해 입시위주의 교육, 사립학교법, 교육행정보시스템(NEIS) 문제 등 산적한 현안에 둘러싸여 있다. 교육부총리 자리는 어떻게 하든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자리다. 그렇기에 뚜렷한 소신을 가지고 교육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과 학부모의 진정한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혜안이 필요하다. “학부모들이 원하는 것은 세상을 뒤집어 놓을 만한 교육개혁이나 대학입시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우리아이들이 안심하고 학교에 다니고 현재보다 좋은 학습환경과 도덕성을 갖춘 실력 있는 교사에게 배우길 원하는 것입니다.” 한 학부모의 솔직한 심정이다. 부디 이런 학부모의 소박한 바람에 귀 기울이는 교육부총리가 되길 기대한다. <최석영기자(사회부) sychoi@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