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세동향/신도시외 수도권] 매물은 넘치는데 전세는 부족

지난 한달간 수도권지역(신도시 제외) 아파트 시장은 서울이나 신도시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매매는 물건이 넘쳐나는데 찾는 사람이 없는 반면 전세는 여전히 물건 부족 현상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양극화 현상이 계속됐다.◇전세 =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지역은 예외 없이 물건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오는 29일 지하철7호선 온수~신풍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는 광명지역의 경우 전달에 비해 0.39% 정도 상승했다. 개통 수혜권인 주공 12·13단지 28평형이 7,500만~8,000만원선으로 한달새 500만만원 정도 올랐다. 과천지역에서는 4·5·8단지 등 고층아파트의 전세가 강세 현상이 두드러졌다. 24평형이 8,500만원, 31평형이 1억3,000만~1억4,000만원선에 시세가 이뤄져 있지만 물건이 나오지 않고 있어 수요자들의 애를 먹고 있는 상황. 전체적으로는 1.08%가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기록됐다. 구리시 일대도 품귀 현상을 빚고 있기는 한가지다. 가격이 한달전보다 500만~1,000만원 정도 올랐다. 32평형짜리가 8,000만~8,500만원 정도. 토평지구 북쪽과 맞닿아 있는 교문지구도 인창지구와 값이 비슷하다. 다만 전세매물은 중개업소별로 1~2개씩은 확보돼 있어 사정이 좀 나은 편. 용인·수원 등 남부권으로 내려가 보면 물건부족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수원 영통지구 재테크부동산 강복희(姜福熙) 사장은 『수요는 줄을 서 있는데 물건은 안 나오니 전세가 오름세가 멈출줄 모르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한달간 500만원 정도 올랐다는게 姜사장의 말이다. 수지1지구 등 용인에서는 대형·소형간 불균형이 엿보인다. 30평형대 이하의 중·소형아파트는 물건 부족에 시달리고 있지만 40평형대 이상으로 넘어가면 매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매매 = 전반적으로 여전히 거래 중단 현상을 보이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조금씩 매기가 살아나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상승·하락폭은 -0.02~0.1%선으로 가격변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명의 저층 주공아파트들은 재건축에 대한 기대로 수요자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이때문에 매매 가격도 보기 드물게 강보합세다. 17평형이 1억3,000만~1억5,000만원선으로 한달전에 비해 500여만원이 올랐다. 수원 영통지구도 거래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동보·신명 32평형이 1억4,000만원선이며 벽산·풍림은 이보다 1,000만~2,000만원 정도 비싸다. 반면 용인 수지1지구는 인접한 2지구 입주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보합세를 보이는데다 수요도 거의 없다. 구리·과천 등 나머지 지역들 역시 거래 중단이 장기화되는 추세. ◇분양권 = 역시 봄이 아직 먼 느낌이다. 대형아파트들이 무더기로 쏟아졌던 용인 상현·성복리 일대 아파트들은 한달전보다 프리미엄이 500만~700만원 정도 내려갔지만 아직 수요를 부채질하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한때 4,500만원까지 프리미엄이 붙었던 LG빌리지 3차 52평형이 지금은 3,500만~4,000만원정도까지 떨어졌다. 수지1지구 거목부동산 오경만(吳景萬) 사장은 『매도자나 매수자 모두 급할 게 없다는 판단 때문에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정두환기자DHCHUNG@SED.CO.KR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