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뇌출혈 환자 비만보다 저체중이 더 위험

서울대병원 윤병우 교수팀 연구<br>사망 위험 정상보다 64% 높아


뇌출혈 환자의 경우 사망확률을 낮추려면 비만보다 저체중에 더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윤병우 교수팀은 뇌출혈 후 사망 위험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2~2004년 전국 33개 병원의 뇌출혈 환자 1,356명을 대상으로 역학(코호트) 연구를 한 결과 저체중 뇌출혈 환자의 사망 위험이 정상체중에 비해 64% 높았다고 7일 밝혔다. 오히려 과체중과 비만인 뇌출혈 환자의 사망 위험은 정상체중 환자보다 각각 69%, 61%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윤 교수는 "통상적으로 비만이 각종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간주됐지만 이번 조사 결과 오히려 비만도가 높은 뇌출혈 환자의 사망 위험도가 더 낮았다"면서 "뇌출혈 이후 생존한 환자에 대한 체중 관리 지침은 물론 한국인의 비만 기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출혈 발생 이후 30일 이내의 조기 사망 위험은 비만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간에 걸친 사망 위험은 비만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조사에서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ㆍBody Mass Index)가 18.5 미만일 경우를 저체중으로 정의했으며 정상체중(18.5~22.9), 과체중(23.0~24.9), 비만(25이상) 등으로 분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