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전략 시행을 위한 금리인상은 시기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민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발표된 주간금융브리프에서 "우리나라에서 출구전략을 시작할 때는 미국 등의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금융ㆍ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한편 경제회복 상황을 살펴가면서 시기를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 연구위원은 "본격적인 출구전략 시행을 의미하는 금리인상 시기가 일반적으로 내년 2ㆍ4분기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경기회복세가 미약해서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의견도 상당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위기 수습을 위해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이 자산 거품과 금융위기를 재연하고 인플레이션을 급격히 촉발할 위험이 있어 최근 각국에서는 출구전략을 활발히 논의 중이다. 미국은 초기 출구전략으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유동성 지원 규모를 지난해 말 1조5,000억 달러에서 지난 8월 말 현재 6,000억달러 밑으로 줄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자 출구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고 이미 한국은행은 금융위기 이후 공급한 외화유동성 266억달러 중 220억달러, 원화유동성 27조원 중 17조원을 회수했다.
장 연구위원은 우리 정부의 출구전략과 관련해 "한국 경제는 수출의존형이어서 출구전략을 펼 때 특히 미국 등 주요국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독자적인 출구전략을 가동할 경우 원화가치가 상승할 수 있지만 경기회복세가 약화될 수 있으므로 그 영향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그는 "거시경제정책의 목표를 내수회복지원에서 자산가격 버블방지와 금융안정으로 전환하는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