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매일매일의 기분이나 정서 상태의 리듬을 조절하는 핵심 작용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로 앞으로 각종 기분장애와 중독질환 등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김경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생명과학부 교수와 정수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박사, 손기훈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8일 생체시계와 도파민(뇌 기능을 관장하는 중요 신경전달 물질) 신경회로의 분자생물학적 연결고리를 발견하고 그 작동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분자 생체시계에서 표적 유전자에 대한 발현 억제 기능을 담당하는 REV-ERBα가 NURR1과의 경쟁적 상호작용이 일주기적 정서조절의 핵심 작용원리다.
특히 돌연변이 생쥐 등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중뇌 REV-ERBα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과 불안장애 행동을 직접적으로 야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또 이것이 도파민 활성 이상이 주요 원인인 파킨슨병이나 하지불안증후군으로 확장될 가능성 역시 매우 높다는 결론을 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가 앞으로 각종 정서장애와 중독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일주기 분자 생체시계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정서·중독장애 치료제 개발로 직접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REV-ERBα 활성 제어를 통한 각종 뇌질환 치료제 개발법에 대한 국내외 특허를 출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과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셀(Cell)지' 온라인판 8일자(현지시간)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