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비상급수 시설 14% 음용수 부적합 판정

유사시 읍 단위 이상 주민에게 공급할 목적으로 설치된 비상급수 시설 중 14% 가량이 음용수(飮用水ㆍ먹는 물) 기준을 초과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제종길 열린우리당 의원은 11일 ‘비상급수시설 운영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국 음용수 비상급수시설 2,716개 중 382개(14.1%)가 음용 부적합 판정을 받았고 71곳은 3년 연속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제 의원에 따르면 비상급수시설 검사대상 3,922개 중 11.4%인 448개가 수질기준을 초과했고 생활용수 비상급수시설 1,207개 중 5.5%인 66개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제 의원 측은 “비상급수 시설이 읍 이상 지역 주민 4,400만명에 유사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실제로는 평시에도 개방, 식수로 공급하고 있어 부적합 시설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