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외교적 대화" 강조…'야스쿠니' 수위조절 조짐

성조지 “‘실망’ 표출한지 일주일만에 ‘화해’에 초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를 비판하던 미국이 조심스럽게 수위조절을 하는 듯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일 대사관을 통해 ‘실망한다’는 공식 반응을 표출한 지 일주일 만에 야스쿠니 참배 이전의 입장으로 되돌아가 일본이 주변국과의 갈등해결에 나서도록 독려하는 쪽으로 논조가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국방전문지인 성조지는 3일(현지시간) ‘미국이 사태의 진정을 독려하고 있다’는 제하의 도쿄발 기사에서 국무부 부대변인의 발언을 인용, “일본 고위관료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이후 미국이 일본과 주변국간 외교적 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이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본 총무상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대해 “우리는 일본에 대해 대화를 통해 우호적인 방식으로 이웃국가들의 과거사 우려를 해결할 것을 당부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한 것을 거론한 것이다.

성조지는 “미국은 아베 총리의 신사참배 이후 실망한다는 논평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하프 부대변인은 ‘화해’에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했다.


물론 하프 부대변인의 브리핑 내용만으로 미국 정부의 입장에 특별한 변화가 있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또 하프 대변인이 논평한 사건은 아베 총리가 아닌 일본 총무상의 신사참배여서 동일한 사안으로 다루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다.

관련기사



그러나 미국이 야스쿠니 참배를 계기로 촉발된 과거사 갈등국면을 조기에 수습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는게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의 시각이다.

미·일 동맹의 전략적 가치를 여전히 중시하는 태도를 취하면서 야스쿠니 참배가 양자관계는 물론 한·미·일 삼각 안보협력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대응기조를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조지는 “야스쿠니 참배를 둘러싼 한·일간 갈등은 양국 모두와 안보동맹을 맺고 있는 미국을 어려운 입장에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프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에서 동북아 역내 국가들의 강력하고 건설적인 관계가 ‘미국의 이익’과 부합한다고 본다고 강조한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소식통들은 “미국은 동북아 전략운용이라는 큰 틀에서, 또 미·일 동맹이 가져다주는 전략적 이해의 관점에서 과거사 문제에 접근할 가능성이 크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국제 정치의 주요 공론무대인 워싱턴에서 야스쿠니 참배문제가 과거처럼 단순히 ‘지나가는(passing) 이슈’가 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데에 우리의 외교력이 모아져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