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베트남 무역적자 확대..이달까지 37억弗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무역적자는 줄어들기는 커녕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영 베트남통신(VNA)은 26일 통계총국(GSO) 자료를 인용해 올들어 지난 7개월동안 수출실적은 모두 174억달러로 작년 같은기간에 비해 18.1% 늘어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정부가 책정한 올해 수출 목표치의 56.7%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출증가세를 품목별로 보면 가구 및 목재류가 47.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쌀(36%), 원유(34.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섬유류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의 반덤핑관세 부과 등의 영향으로 0.2%증가세에 그쳤으며, 수산물과 신발류 역시 각각 2.9%와 0.2%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시장으로는 올 상반기 기준으로 미국과 일본이 각각 25억달러와 23억3천만달러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수출증가율로는 일본이 35.6%로 미국보다 20.6%포인트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올들어 지난 7개월 동안의 수입액은 모두 211억달러로 작년동기대비 20.5%(37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수입이 늘어난 것은 국제유가 폭등의 영향으로 석유제품류 가격도 덩달아 치솟았으며, 기계류, 전자류, 의료기기 등의 가격 상승과 반입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특히 석유제품류의 경우 올 7개월 동안 모두 28억달러어치가 수입돼 작년동기대비 45.9%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또 철강류도 같은기간 19억달러어치가 수입돼 작년동기대비 3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웬 떤 쭝 수석부총리(경제담당)은 최근 VNA와의 회견에서 올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7.63%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쭝 부총리는 이는 작년 같은기간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지만 지금처럼 낮은 성장세로는 올해 목표치 8.5%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베트남이 올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반기에는 적어도 9.3%의 성장을 이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노이=연합뉴스) 김선한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