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인터넷 선거광고전 박차

우리당, 16개 광역단체장 한꺼번에 홍보<br>한나라, 정책·이미지로 연령대별 타깃광고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여성마라톤대회 참석 오세훈(가운데)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가 7일 오전 서울 상암동 월드컵공원에서 열린 여성 마라톤대회에 참석해 출발선에서 준비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여야 각당이 5ㆍ31 지방선거에 처음 도입되는 인터넷 선거광고 효과를 얻기 위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인터넷 선거광고는 선거운동의 자유를 확대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개정 선거법에 반영됐고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오는 18일부터 인터넷 포털 매체 등을 통해 배너광고의 형태로 등장하게 된다. 7일 정치권에 의하면 열린우리당은 최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네이버ㆍ다음 등 포털을 통해 16개 광역단체장을 한꺼번에 알리는 인터넷 광고를 추진하기로 의결했다. 우리당은 각 포털 사이트가 제안한 광고상품을 분석하는 작업을 거쳐 후보 개인별 광고보다 ‘16개 광역단체장 출진표’를 한꺼번에 선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나라당은 정책ㆍ이미지 광고 위주로 인터넷 선거전을 치르겠다는 계획이다. 정권심판론과 함께 한나라당의 경제 살리기 노력 등을 결합시켜 선거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포석이다. 이와 함께 포털 사이트별로 연령대를 달리해 후보를 알리는 ‘타깃광고’ 전략도 구상 중이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열악한 재정상황 때문에 중앙당 차원에서 인터넷 선거광고전에 뛰어들지 못하고 있지만 자당 소속 후보들에게 인터넷 광고를 소개하고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여야 정당이 나름의 전략을 세우고 인터넷 선거광고전을 준비하고 있지만 벌써부터 불공정 선거운동 시비도 우려되고 있다. 각 당에 의하면 일주일간 주요 포털 사이트에 배너광고 등을 게재할 경우 최소 1,500만∼2,000만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고 정당ㆍ후보별 자금력에 따라 온라인 노출빈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