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 서비스지출 비중 '선진국 수준' 증가세

국내 서비스산업 취약..해외 서비스 지출 급증

교육과 의료, 오락문화 등 양질의 서비스에 대한 소비욕이 강해지면서 가계의 소비지출에서 서비스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들과 대등한 수준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서비스 소비 수준이 고도화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서비스산업은이를 흡수하지 못해 해외로 서비스 소비지출이 빠져나가고 서비스부문 경상수지 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의 소비지출(경상가격 기준)에서 서비스부문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990년 46.1%에서 1995년 51.8%, 2000년 53.4%, 2002년 55. 1%에 이어 지난해에는 56.6%로 높아졌다. 미국의 경우 가계의 서비스지출 비중이 1990년 55.1%, 1995년 57.9%, 2000년 58. 3%, 2005년 59.0% 등의 증가세를 나타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가계의 서비스 소비 지출 비중이 90년대 이후 급속히 높아진 셈이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 지난 2002년 기준으로 가계지출에서 서비스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1.0%에 불과했으며 네덜란드는 48.6%로 한국보다 낮았으며 일본은 56.4%를 나타냈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의 소비에서 서비스부문 지출 비중이 선진국 수준 또는 그이상으로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양질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는데다 정보통신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통신서비스 이용 증가 등으로 서비스지출 비중이 커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제수지 통계상의 서비스수지 적자는 2000년 28억달러에서 2001년 39억달러, 2002년 82억달러, 2003년 74억달러, 2004년 80억달러, 2005년 131억달러 등으로계속 증가했으며 올들어서는 1.4분기에만 적자 규모가 50억달러에 달했다. 해외여행자 급증과 해외유학.연수비 지출의 꾸준한 증가 등으로 가계의 국외 소비지출은 지난해 13조3천698억원으로 전년 대비 10.8% 증가하면서 전체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1%에서 3.2%로 높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