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M&A자금 유입 아시아서 '2위'

이에 따라 외국계 M&A 자금이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주식투자자금 유입 등과함께 원화 절상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모건 스탠리는 '아시아의 M&A 자금 유입과 환율'이라는보고서를 통해 99년중 아시아지역으로의 M&A 자금 유입규모는 708억달러로 전년(352억달러)에 비해 2배, 95년(104억달러)에 비해 7배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한국으로의 유입이 119억8천만달러로 아시아 전체의 17%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에 대한 M&A 자금유입은 97년 17억2천만달러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가터지면서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된 98년 84억8천만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올들어서도 지난 9일까지 들어온 M&A 자금은 28억달러로 일본(3억2천만달러),중국(3억1천만달러), 홍콩(1억8천만달러) 등을 앞지르며 아시아 1위를 달리고 있다. 작년 M&A 자금유입 1위인 일본은 265억달러를 기록했으며 중국은 118억7천만달러, 홍콩 46억8천만달러, 싱가포르 44억2천만달러, 태국 38억6천만달러, 인도 30억1천만달러, 대만은 11억5천만달러였다. M&A는 대부분 주식교환보다는 현금지급방식으로 이뤄져 M&A에 의한 자금유입이아시아국가 통화의 절상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M&A는 포트폴리오 투자보다 국제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도 아시아로의 자금 유입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모건 스탠리는 "특히 세계 주가가 하락세로 반전되는 경우 한국, 일본, 대만 등이른바 '기술경제국가'에 대한 M&A가 크게 늘어나 해당국 통화의 절상압력이 가중될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