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12월 16일] 원자력 융·복합 인재 육성을

캐나다 출신 생태학자 패트릭 무어(Patrick Moore)는 세계적인 반핵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 Peace)의 공동창설자로 30년간 지구촌 생태를 위해 일했다. 그가 최근 '원자력 확대만이 지구온난화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외치며 원자력 홍보에 적극 나섰다. 화석에너지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급박함과 대체에너지 개발이 아직 미진한 것에 대한 조급함에 기인한 것이다. 이처럼 지구온난화 방지의 현실적 대안으로 대두된 원자력은 현재 중흥기를 맞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 약 300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추가 건설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각국의 시장 선점 경쟁도 치열하다. 국내에서도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의 비중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수출을 계기로 정부는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소 80기를 수출해 원자력 발전을 우리나라의 새로운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국내 원자력발전소 추가 건설, 해외수출 등으로 원자력발전소 설계와 시공관리, 유지 및 보수, 연구개발 등에 폭발적인 전문 인력의 수요가 예상된다. 향후 10년간 적어도 2만4,000여명의 신규 인력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인력양성은 단기간에 달성하기 힘든 과제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원자력산업 실무 및 고급 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과 투자를 서둘러야 한다. 현재 국내 대학의 원자력학과에서 매년 배출하는 인원은 대략 300여명에 불과하다. 앞서 언급한 필요인력을 충당하기에는 어림없다. 원자력학과 증설 등 여러 대안이 있겠지만 단기간에 감당하기 힘든 인력을 보완하기 위해 필자는 연합전공 또는 복수전공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자력산업 현장에서는 원자력 및 방사선 공학과 함께 기계∙기계설계∙전기∙전자∙소재∙건설∙화학 등 공학 전분야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실제 원자력발전사업체 및 원자력공급산업체의 전공별 인력 분포를 살펴보면 원자력∙방사선 분야는 10% 내외인 반면 기계∙기계설계(24.3%), 전기∙전자∙계측(23.2%) 전공자들이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원자력연감∙2009). 이는 곧 원자력공학의 학문적 특성으로 귀결된다. 영남대 공과대학은 원자력 산업현장의 인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2011학년도 원자력공학 연계전공을 신설했다. 원자력산업 현장의 수요와 최근의 융∙복합 트랜드를 고려해 운영될 예정이다. 대학의 이 같은 과정은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원자력공학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융∙복합 교육을 통한 보다 창의적이고 현장응용력이 우수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다. 둘째, 졸업생들의 원자력 관련산업 취업 후 직장 내 교육훈련기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이는 곧 산업체의 시급한 원자력 실무인력 양성요구에 현 단계에서 대학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 방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취지에 지자체도 호응해 최근 경상북도는 영남대에 지원을 약속하고 원자력 인력양성을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 그런만큼 영남대의 이번 시도가 새로운 대학교육 패러다임으로 융∙복합 모델을 제시하는 동시에 원자력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키우는 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