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매물 없어유~"

가격상승 기대감에 자취 감춰<br>농가주택엔 외지인 발길 꾸준


“매물유? 그나마 나와있던 것도 싹 들어갔지유” 충남도청 이전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 일대 부동산 시장에서는 매물이 자취를 감췄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후 그나마 일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간간히 일어나던 거래도 뚝 끊겼다. 충북도청 이전사업 단계마다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기대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충남도청 측은 투기세력 차단을 위해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투기행위에 대한 단속에도 나선다는 방침이어서 이런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13일 이 지역 지방자치단체와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홍성ㆍ예산군 일대가 도청이전 대상지를 발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매도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고 실제 거래허가건수 또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청이전평가단은 지난 12일 6개 평가대상지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 일대에 오는 2013년까지 도청과 관련 기관을 옮긴다고 발표했다. 평가단 관계자는 “도청이 이전할 지역은 아직 300만평의 원으로 그려놓았을 뿐이고 구체적인 모습은 이르면 15일께 공고를 할 계획”이라며 “이 일대는 이미 토지허가거래구역으로 묶인 상태”라고 말했다. 충남도청 이전은 지난 89년 대전시가 직할시로 승격한 뒤 논의가 시작됐는데 지난해말 도청이전추진위원회가 대상지 선정을 위한 입지기준을 발표하면서 다시 관심이 집중됐다. 홍성ㆍ예산군 일대도 지난 2~3년간 투자 움직임이 활발했지만 지난해 7월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묶이면서 한풀 꺾였다. 그나마 지난 1월 6개 후보지가 발표되자 매물마저 줄어들어 거래가 거의 끊겼다. 예산군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이후 외지인의 투자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거래 또한 대폭 줄었다”며 “농한기라 거래허가건수가 많으면 하루에 5~6건, 없을 때는 아예 없다”며 “다만 토지거래허가가 필요 없는 작은 규모의 토지는 증여 건이 10~20여건 있지만 그나마 매매는 없다”고 말했다. 홍성군 관계자도 “지난해 말에서 1월까지는 거래허가건수가 하루 평균 4~5건이다가 이달 들어서는 2~3건으로 감소했다”며 “기존 투자자들은 기대심리 때문에 매물을 내놓지 않고, 외지 투자자들은 허가구역 지정으로 취득이 어려워지다 보니 거래가 실종됐다”고 설명했다. 도청이전 예정지의 경우 토지가격은 지난해 급등한 뒤 10만원 대부터 높게는 20만~30만원 대에 형성돼 있지만 현재는 가격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태다. 건우부동산 관계자는 “매물이 나왔다가 전부 들어갔고, 시세가 약간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돼 있다”며 “외지인의 경우 등기를 못하다 보니 토지거래가 어렵지만 농가주택의 경우 아직도 꾸준히 찾는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