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6월 25일] 채권은 빚이다

자본시장을 구성하는 양대 축인 주식ㆍ채권 시장 가운데 채권은 주식시장에 비해 그 규모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다. 23일 현재 채권시장 규모는 1,196조원으로 주식 시가총액(1,039조원)보다 많다. 하지만 시장을 바라보는 투자자의 시선이나 발행자인 정부ㆍ기업 등의 관심도는 채권 쪽이 많이 약하다. 단순히 채권 거래가 일부 '큰손'들의 영역에 들어가 있어 일반 투자자와는 괴리돼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아마 두 시장 간의 성격 때문이지 않나 싶다. 주식이라는 것은 알다시피 소액의 분산된 자금들이 모여 사업체인 주식회사를 꾸리고 회사의 성공과 실패를 함께하는 수단이다. 모인 주식이 많을수록 사업은 번창하고 특별히 누구에서 손해를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채권은 다르다. 채권(債券)은 말 그대로 '빚'이다. 국가나 기업이 돈을 빌리는 것이다. 발행된 채권이 채권시장에 넘쳐난다는 것은 그만큼 국가ㆍ기업의 빚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스스로 수지타산을 맞추지 못하고 남의 돈을 빌려야 한다는 것은 분명 좋은 현상은 아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채권을 사나 주식을 사나 마찬가지일 수 있다. 가격이 올라가고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고 혹 배당까지 챙긴다면 어떤 상품이냐를 구별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발행자와 시장 전체로서는 다르다. 증자가 크게 늘어난다고 해도 그 자체의 작동원리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주식시장과는 달리 '빚'인 채권을 발행하는 국가나 기업, 개인이 증가한다는 것은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무분별한 채권발행을 억제하기 위해 신용등급이라는 규제장치가 있지만 국내외의 사례를 보면 꼭 제대로 작동하는 것 같지가 않다. 최근 전세계 금융시장을 흔든 유럽발 재정위기도 일부 국가의 채무가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넘었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번주부터 물가연동 국고채를 내놓았다. 수익률에서 일반 국채보다 좋아 많은 투자자가 몰린다고 한다. 한편에서는 새로운 빚 조달 통로를 마련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발행자나 투자자 모두에게 채권은 신중히 다뤄야 할 상품이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