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울산 경제부시장제 효과없다"

전문분야 다르고 지역 잘모르는 사람 기용<br>"고위직 자리 보전용" 비판

울산시와 부산시가 잇달아 경제부시장직제를 신설했으나 실질적 성과나 효과가 없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울산시는 최근 정무부시장의 명칭을 경제부시장으로 바꾸는 내용의 '울산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시는 정무부시장이 경제통상과 환경녹지, 도시개발 업무를 관장하고 있기 때문에 명칭을 업무성격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의회에서 통과되면 명칭은 내년 1월1일부터 바뀐다. 문제는 현 주봉현(59) 정무부시장이 경제부시장 자리에 걸맞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06년 취임한 주 정무부시장은 2004년 중국 정부로부터 국제환경협력상을 수상하는 등 기존에 환경부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그 동안의 경력을 감안해 볼 때 환경전문가인 셈이다. 시민들은 시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무부시장을 경제부시장으로 변경하는 것이라면 진짜 '경제분야 전문가' 영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가 전 지자체의 화두인 만큼 이를 위해서는 경제분야 전문가를 영입해야 한다는 것. 시가 고위직 자리보전용으로 이름뿐인 경제부시장을 만든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대부분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정무부시장 등 외부 고위직을 통상 2년마다 바꾸고 있지만 주 정무부시장은 이례적으로 이미 4년간 근무했으며 이번 경제부시장으로 추가로 2년을 더 근무하게 된다. 시민 강정호(52ㆍ가명)씨는 "현 정무부시장은 외부 고위직으로 울산시 사상 최장기간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번 경제부시장 명칭 변경이 고위직 자리보전용이 아니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이어 "경제 전문가를 영입해 울산시 경제 활성화 극대화를 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덧붙였다. 부산시도 민선5기 출범 직후 기존 정무부시장을 경제부시장으로 직제를 바꾸면서 이기우(55) 경제부시장을 임명했으나 '부산을 잘 모르는 사람을 앉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경제부시장은 지난 7월 취임 직후 부산지역 경제산업현장을 차례로 방문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했으나 아직까지 아무런 실적이나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청 안팎에서는 "부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해야 할 부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할 것 같아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많아 경제부시장 인사 논란이 당분간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