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PB업무 모니터링 실시

금감원,"금융사고 우려 높아"최근 은행들이 프라이빗뱅킹(PB) 마케팅을 강화함에 따라 금융사고의 우려가 높아지자 감독당국이 감독에 나서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5일 "거액을 유치하는 VIP고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PB업무는 직원과 고객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특성상 금융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크다"며 "PB업무를 도입한 은행이 모두 10개에 달해 모니터링을 통한 감독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은행의 PB고객은 극소수이지만 이들이 맡긴 예금이 전체 수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기 때문에 철저한 내부통제시스템과 직업윤리의식이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 8월 산업은행 본점 영업부 직원이 자신이 관리하는 PB고객 통장을임의로 재발행한 뒤 만기전 중도해지해 5억원가량을 빼돌린 사고가 일어났다. 금융계에 따르면 PB업무가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알려진 H은행의 경우 PB고객수는 전체 고객의 1% 수준으로 이들이 맡긴 예금은 전체 수신고의 3분의 2에 달하지만이를 담당하는 직원은 100명에도 못미쳐 금융사고의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은행들은 수익성 제고를 위해 최근 앞다퉈 PB업무 활성화에 열을 올리고있다. 조흥은행이 지난 9월부터 PB업무를 시작한 데 이어 국내 1위 은행인 국민은행도오는 11월부터 통합완료를 계기로 본격적인 PB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며 외국계 은행중에는 씨티은행이 처음으로 오는 11월부터 예금액 10억원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PB업무를 시작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내년부터 도입되는 방카슈랑스를 앞두고 증권, 보험사와의 업무제휴 확대와 함께 우량고객 확보를 위한 금융회사간 PB마케팅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