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경쟁력시대] 농업기반공사

통합 1년만에 흑자 실현농업기반공사(사장 문동신)는 기관 통합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힌다. 우려반 기대반속에 농어촌진흥공사, 농지개량조합, 농지개량조합연합회 등 3개 기관이 통합, 농업기반공사가 출범한 것은 지난해 1월이다. 사실 감사원이 통합과정에서 국고 손실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출범당시 우려는 말끔히 가셨다. 통합 1년만에 23억원의 흑자 실현이라는 성과를 올렸다. 이에 대해 문 사장은 "사원 모두가 통합 과정에서 숱한 우여곡절을 견디고 구조조정과 조직정비를 추진한 덕"이라고 고마워했다. 문 사장의 말대로 3개 기관이 하나로 합치는 데 따른 아픔이 없었을 리 만무하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2,118명이 공사를 떠났으며 중앙단위 9처, 도단위 8개 지사, 시ㆍ군 단위 100개 지부를 감축했다. 말 그대로 대수술인 셈이다. '군살없는 몸매'는 '고통의 지난날'을 대변해 주고 있다. 또 다른 난관은 3개 기관의 이질적인 조직문화를 융화하는 문제. 이를 위해 공사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캠페인과 조직 활성화 교육을 실시, 직원 화합을 유도했다. 이질감 등 직원 사이의 벽들은 서서히 허물어졌다. '찢고 봉합'하는 과정에서 생긴 생채기는 아물어 갔다. 모든 회사가 가장 비중을 두는 부분은 경영상태의 개선이다. 공사도 예외가 아니다. 저수지 다목적 이용사업 등 2개의 자체사업과 각종 신규사업을 개척해 지난해 669억원의 비용을 줄였다. 또 불용자산의 매각에도 힘써 당초 계획보다 191억원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수리시설 유지관리 국고보조 제도'개선을 통해 장기적인 공사경영 안정화 방안도 강구했다. 이런 결실은 남들의 평가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7월 공사는 삼성경제연구소로부터 '구조조정우량기업'으로 선정된 데 이어 올해는 공공부문 혁신대회에서 기획예산처 장관상을 수여했다. 또 전국경영생산성 촉진대회에서는 생산성 대상을 받았다. 공사측은 "국고보조금이 통합 전 평균 910억원에서 통합 후 643억원으로 대폭 줄었으며 조합비(수세)를 폐지, 농민부담이 295억원이나 경감됐다"고 밝혔다. 공사는 특히 물 관리 자동화에 심혈을 쏟고 있다. 올해 안으로 농업용수 관리 자동화 사업 정부예산코드를 신설해 오는 2015년까지 370여 개 지구의 물 관리 자동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지속됐던 100년 만의 가뭄 속에서 그 진가를 발휘했다. 전국적인 물 관리 체계 구축이 이뤄져 물이 남는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공급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쌀 소비 촉진운동에 나서 쌀 재고량 증가로 시름에 젖어 있는 농민들을 측면에서 지원하고 있다. 공사측은 "이제 간신히 고비를 넘기고 안정권에 들어 서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다. 문 사장은 "통합과정에서 습득한 변화에 대한 노하우 등을 활용해 앞으로 민간기업을 능가하는 공기업이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전문가들은 공사가 방만한 조직을 통합해 조직의 슬림화와 효율화에 성공,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보고 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공사는 지금 디지털 경영ㆍ 정보통신ㆍ지식사회에 발맞춰 경영과 사업을 새롭게 재편하기 위해 땀 흘리고 있다. 공사가 농민을 위한 진정한 공복이 되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