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내전화 기본료 1,000~1,200원 인상

오는 15일부터 시내전화요금 월기본료가 급지별로1천-1천200원이 인상되고 3분당 통화료는 현행보다 6원 인하된다. PC통신 요금은 11% 내린다. 정보통신부는 시내전화 통화료가 현행 3분당 45원에서 39원으로 6원 인하되며,기본료는 급지별로 현행 월 1천500-4천원에서 2천500-5천200원으로 1천-1천200원이인상되는 한국통신 시내전화 요금조정안을 승인했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대도시 일반 가정에서 한달에 200통 이상 시내전화를 걸 경우 전화요금 인하 효과가 있으나 200통 미만의 통화를 할 경우 기본료 인상 폭만큼 전화요금부담이 늘어난다. 기본료 인상은 81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현행 10만원인 전화 가입비는 6만원으로 4만원이 인하되며 신규전화 가입시 설비비형 가입제도는 폐지돼 가입비형 제도로 단일화된다. 아울러 저소득층의 요금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149만명) 및 65세 이상 무의탁 노인(32만명)에 대해서는 기본료를 인상하지 않고 통화료 인하만 적용키로 했다. 이와함께 PC통신(014XY) 요금은 현재 277초마다 41.6원을 부과하던 것을 307초로 늘려 11% 인하했다. 한국통신은 이에 앞서 통화료 7.5원 인하와 기본료 1천700-2천원 인상을 요구했었다. 정통부는 현행 한국통신의 시내전화 요금중 기본료는 원가대비 65%에 불과한 반면 통화량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는 통화료의 원가보상률은 121%에 달해 기형적 요금구조를 보여와 이번에 손질을 했다고 설명했다. 정통부는 또 이번 요금조정은 통화료와 PC통신 요금을 인하, 정보통신 이용을촉진하고 기본료와 통화료의 원가구조 왜곡에 따른 유선망의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한국통신 시내전화 요금 변경으로 전체 가구의 55% 정도가 요금이 증가하는 반면 45%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우리나라 가구의 월 평균 통화도수는 222건이며 요금은 평균 8천700원"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