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형 쏘나타 중고가격, 캠리 눌렀다

잔존가치 美시장서 동급 30개 차종중 6위로


SetSectionName(); 신형 쏘나타 중고가격, 캠리 눌렀다 잔존가치 美시장서 동급 30개 차종중 6위로 심희정기자 yvette@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이달부터 미국에서 판매된 현대자동차의 신형 쏘나타가 리콜 사태로 몸살을 앓고 있는 도요타 캠리를 제치고 잔존가치 평가에서 동급 30개 차종 가운데 6위에 올랐다. 10일 현대차는 미국 최대 중고차 잔존가치 평가기관인 ALG(Automotive Lease Guide)가 신형 쏘나타 잔존가치를 동급차종 평균인 46.9%보다 5.9%포인트 높은 52.8%로 책정했다고 밝혔다. 잔존가치란 신차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 예상되는 차량의 가치를 산정한 것으로 잔존가치가 높을수록 중고차 가격이 상승한다. 이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해 신차판매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신형 쏘나타가 받은 평균 52.8%의 잔존가치는 이번 평가(2010년형 판매 모델 기준)에서 1위에 오른 스바루 레가시(56.3%)와의 격차를 3.5%포인트까지 좁혔다. 이는 스바루 레가시 잔존가치율의 94%에 해당해 사실상 동급 최상위권에 진입한 셈이다. 더욱이 경쟁차종인 도요타 캠리(49.5%), 닛산 알티마(51.1%), 포드 퓨전(44.4%) 등도 가볍게 넘어섰다. 기존 쏘나타(NF)의 41.8% 와 비교해서는 11%포인트나 올랐다. 최근 현대차 다른 모델들의 잔존가치도 높아졌다. 2010년형 제네시스, 제네시스 쿠페, 베라크루즈는 각각 47.5%, 52.3%, 49%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최근 소형차 붐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는 48.3%, 새로 출시한 투싼ix는 50.6%로 평가됐다. 현대차의 잔존가치 상승은 미국시장에서 현대차가 품질ㆍ성능ㆍ안정성ㆍ디자인 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게 됐음을 의미한다. 또 이달 출시와 함께 시작한 리스 프로그램도 잔존가치 상승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10년간 품질 및 브랜드 경영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 노력을 기울였지만 현대차 모델의 잔존가치율이 경쟁차종 대비 60~70%에 그치는 등 그동안 미국 소비자들의 눈높이 척도인 중고차 시세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평가로 현대차는 저가 브랜드 이미지에서 완전히 탈피해 미국시장 점유율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의 한 관계자는 "높은 잔존가치는 전체적인 보유비용을 줄이고 고객들에게 좋은 리스 기회를 제공하는 등 현대차의 브랜드 가치상승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 같은 기세를 몰아 중고차 잔존가치를 높이는 리스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벌일 방침이다. 이원희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1월 말 현대차 실적발표에서 "일본 차가 잔존가치 향상을 위해 리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우리도 이를 집중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전체 쏘나타 판매의 25~30% 정도를 리스 분량까지 늘릴 계획이다. [도요타 쇼크! 日 신화 붕괴 어디까지…] 핫이슈 전체보기 [이런일도…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전체보기│ [실전재테크 지상상담 Q&A] 전체보기 [궁금하세요? 부동산·재개발 Q&A] 전체보기│ [알쏭달쏭 재개발투자 Q&A] 전체보기 [증시 대박?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보기│ [전문가의 조언, 생생 재테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