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전대란’이유 있다…한전 자회사 부실 드러나

감사원, 한전 자회사 10곳 감사“업체 특혜제공, 부실부품 구매 등 예산낭비”


사상 초유의 ‘정전대란’을 야기한 한국전력의 자회사들이 특정 업체에 특혜를 제공하거나 성능이 미흡한 부품을 구매해 예산을 낭비할 우려가 있는 등 총체적 부실 상태인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 6∼10월 한전KPS㈜ 등 한전 자회사 10곳을 대상으로 협력업체 운영 및 계약관리실태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확인돼 총 22명에 대해 징계를 요구했다고 7일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발전정비시장을 좌우하는 KPS는 같은 회사 출신 임원ㆍ주주가 운영하는 업체에 특혜를 줬고 실제로 이들 12개 업체는 KPS가 발주한 경상정비 하도급 공사 242건 중 139건(57.4%)을 맡았다. 감사원은 KPS 1급 A씨가 대학동기의 청탁을 받고 회사를 함께 설립, 22건(30억여원)의 계약을 맺게 하고 주식 1만8,000여주를 무상 취득한 사실을 적발, A씨의 정직을 요구했다. 남동발전㈜ 등 5개 화력발전사는 연료ㆍ환경설비 운전ㆍ정비 분야 공사를 경쟁입찰로 발주하지 않고 한전의 요청에 따라 특정 업체와 수의계약(4,500억원)을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력생산설비 운영 및 연구개발 분야도 엉망이었다. 남부발전㈜ 하동화력본부는 특정업체에 유리하게 자재구매 규격을 정한데다 해당 업체가 납품하는 제품이 규격에 미달하는 것을 알면서도 합격 처리해줬다. 남부발전㈜은 또 작년 7월 발생한 발전기터빈사고의 사고조사를 부실하게 처리해 원인도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고 경제성이 미흡한 사업(2,500억원 규모)을 조기 발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내 착공이 불가능한 공사 계약을 맺으면서 지침과 달리 총 계약금액의 30%를 선급으로 지급해 최대 44억원의 이자비용을 손해보기도 했다. 자격미달업체를 연구수행기관으로 선정하는가 하면 연구업체가 연구비를 유용하고 폐업 조치됐는데도 이를 방치하는 등 관리가 부실했고, 연구업체가 허위 영수증을 제출했는데도 연구비를 정산하거나 성능이 미흡한 연구개발품을 추가 설치하는 등 예산 낭비 사례도 빈발했다. 이밖에 대기업인 한전KDN이 중소기업도 수행 가능한 IT(정보기술) 관련 자재 구매 업무를 사실상 독점해 116억원의 차익을 얻는 등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역행한 사실도 확인됐다. 감사원은 또 수력원자력㈜이 지난 2007년∼작년 10월 업체들이 동일 IP에서 입찰하는 등 담합이 농후한데도 이를 놔두고 173곳과 299건의 계약을 한 사실을 확인하고 공정거래위원장에게 해당 업체 173개의 담합행위를 조사해 과징금 부과 등의 조치를 하도록 통보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